2024 | 06 | 16
29.1℃
코스피 2,758.42 3.53(0.13%)
코스닥 862.19 9.14(-1.05%)
USD$ 1389.0 11.0
EUR€ 1482.6 2.6
JPY¥ 882.8 5.3
CNY¥ 190.9 1.4
BTC 93,831,000 167,000(-0.18%)
ETH 5,052,000 55,000(1.1%)
XRP 693.5 16.2(2.39%)
BCH 610,500 7,100(1.18%)
EOS 935.5 4.6(0.4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머크, 인도 제약사와 바이오시밀러 공동개발

  • 송고 2012.06.19 09:04 | 수정 2012.06.19 09:05
  • 홍선미 기자 (smhong@ebn.co.kr)

닥터 레디스와 종양 분야 중심 신약 개발 파트너십 체결

독일 화학·의약 기업인 머크(Merck)는 인도의 제약사 닥터 레디스(Dr. Reddy’s Laboratories)와 종양 분야, 특히 단클론 항체(MAbs) 중심의 바이오시밀러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협약서에 포함된 개발물질들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닥터 레디스가 초기제품 개발을 주도하고 임상 1상까지 담당, 임상 1상이 완료되면 머크의 의약사업부인 머크 세로노가 화합물 제조와 임상 3상 개발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연구 개발에 따르는 비용은 공동 분담한다.

또한 제품 시판은 머크 세로노가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를 담당하며, 일부 이머징 시장은 양사 모두 시판을 하지 않거나 닥터 레디스가 독점권을 유지한다.

머크 관계자는 "머크의 의약사업부인 머크 세로노와 닥터 레디스의 제휴는 머크의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이 본격화됐음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스테판 오쉬만 머크 세로노 사업부 대표는 "머크는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 제조, 시판 전문성을 바탕으로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 강점이 있다"며 "이번 제휴로 양사는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경험은 물론 제네릭과 신흥시장에 대한 경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머크 세로노는 지난해부터 바이오제약 분야의 전문성과 일부 이머징 마켓을 포함한 세계 주요 시장에서의 영향력 증가에 따른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해왔다. 올해에는 머크 세로노의 주요 생물학적 제제 제조 시설이 있는 스위스 바우드 캔톤에 바이오시밀러 전담 조직을 만들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58.42 3.53(0.1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16 14:38

93,831,000

▼ 167,000 (0.18%)

빗썸

06.16 14:38

93,793,000

▼ 169,000 (0.18%)

코빗

06.16 14:38

93,748,000

▼ 247,000 (0.2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