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30
4.8℃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7.5 -3.5
EUR€ 1453.1 -4.4
JPY¥ 890.5 -1.9
CNY¥ 185.8 -0.3
BTC 99,829,000 1,601,000(-1.58%)
ETH 5,046,000 62,000(-1.21%)
XRP 901 14.3(1.61%)
BCH 879,200 74,700(9.29%)
EOS 1,606 87(5.7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로봇 굴기 꿈꾸는 중국…한국 대응책은?

  • 송고 2019.11.01 15:06 | 수정 2019.11.01 15:07
  • 조재훈 기자 (cjh1251@ebn.co.kr)

정부 주도 통해 로봇 분야서 비약적인 기술 발전 이뤄

로봇 판매고 세계 1위…최대 시장 미국 추격 고삐

부품, 기초 기술 격차는 여전…한국 대책 절실

중국이 디스플레이 굴기에 이어 로봇 굴기에 대한 야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정부당국 주도로 로봇 분야에서 비약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는 동시에 개화하고 있는 AI시대에 대비해 특허권 취득과 부품 내수화에 착수한 상황이다. 우리 정부도 2023년까지 글로벌 로봇 4대 강국 반열에 올라서겠다는 계획을 가운데 특단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은 중저가 파상공세로 디스플레이 시장을 삼킨데 이어 로봇 영역에서도 가공할 만한 투자를 집행하면서 '로봇 강국'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2011년 일본을 추월하고 세계 최대 로봇 생산국가로 올라섰다. 지난 2015년에는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1/4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렸다. 로봇은 생산과 서비스의 경계를 허물고 기존 방식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분야로 중국 정부가 집중 육성하고 있는 분야다.

중국은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3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최대 수요처는 자동차와 전기전자 사업으로 전체 수요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결과다.

서비스 로봇 분야도 마찬가지다.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은 올해 13억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2022년 2억달러를 넘어 세계 시장의 2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 서비스 로봇 수요는 주로 물류 및 유통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부터 중국 내 로봇 도입을 통해 무인서점, 무인상점, 무인 레스토랑 등이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세계 최대 로봇 시장인 미국과 아시아 간 격차도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그간 미국과 일본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거대한 내수시장, 공격적인 창업 지원 정책을 통한 생태계 구축, AI 및 제조능력 향상으로 중국이 매섭게 치고 올라오는 양상이다.

중국의 로봇 산업 성장에는 정부 차원의 과감한 지원 정책이 밑바탕이 됐다. 로봇 관련 정책으로는 '중국제조 2025', '13차 5개년 계획', '국가과학기술혁신 계획', '로봇산업 발전계획' 등이 있으며 로봇 영역에 특화된 정책들을 통해 목표와 과제를 제시해왔다.

각 지역별 로봇 관련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각 성(시)별로 로봇, 스마트제조, AI, 과학기술, 산업에 대한 정책을 발표하고 제품, 기업,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중국의 이같은 파상공세에도 낮은 기술 수준, 브랜드 이미지 등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핵심 부품과 기술은 일본 등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일본은 1991년부터 다수의 특허 등록을 통해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했다. 중국이 최근 제조 분야에 대해 많은 투자 및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나 기술 격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어렵다는 분석이다.

STEPI에 따르면 일본은 로봇 관련 특허의 43%를 출원했으며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미국(20%)과 한국 (12.7%), 중국(9.6%), 유럽(9.5%), 독일(4.2%)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 로봇의 혁신 경쟁력은 낮지만 활발한 연구개발과 국산화, 개방적 규제를 바탕으로 한 유망 영역 로봇화를 통해 미래 로봇 산업 주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백서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의 자동차와 산업용 로봇 수요가 급격하게 감소했으나 로봇은 중국의 스마트 제조 분야 육성과 인공지능 응용 분야의 핵심 영역이기 때문에 향후에도 공격적인 지원 정책이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 정부도 최근 글로벌 로봇 4대 강국을 목표로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완성 발표했다. 매출 1000억원 이상 로봇 전문기업 20개를 양성하고 로봇산업 전체규모를 2018년 5조7000억원에서 2023년 15조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다. 내년부터는 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착용할 수 있는) 등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육성을 위해 총 3000억원 규모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총 1만대 규모의 서비스로봇을 보급한다.

업계에서는 이미 수립된 정부차원의 계획과 더불어 특단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 로봇 엔지니어링 센터' 설립을 통한 국가 로봇 역량 집대성, 로봇 산업의 서비스화·첨단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개정 등 기초 여건이 뒷받침 돼야한다는 얘기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에서 SW가 활용되는 모든 발주 사업은 국내 대기업의 참여가 불가하거나 어렵게 돼있어 융·복합 서비스 로봇 연구개발을 저해하고 있다"며 "개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30 00:17

99,829,000

▼ 1,601,000 (1.58%)

빗썸

03.30 00:17

99,715,000

▼ 1,706,000 (1.68%)

코빗

03.30 00:17

99,767,000

▼ 1,668,000 (1.6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