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6
10.8℃
코스피 2,628.62 47.13(-1.76%)
코스닥 853.26 8.97(-1.04%)
USD$ 1375.0 -3.0
EUR€ 1475.2 1.1
JPY¥ 884.0 -3.0
CNY¥ 189.4 -0.1
BTC 93,559,000 17,000(0.02%)
ETH 4,579,000 13,000(0.28%)
XRP 764.4 10.5(-1.36%)
BCH 693,400 9,200(-1.31%)
EOS 1,227 27(2.2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거점 잃은 금감원, 홍콩시위·신종코로나에 속수무책

  • 송고 2020.01.30 13:49 | 수정 2020.01.30 18:35
  •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2년전 감사원 예산 지적 따라 홍콩 사무소 폐쇄·싱가포르도 취소

금융권 "신남방 정책 전개 위해 해외사무소 기능 강화 고민 필요"

홍콩 시위 장기화를 비롯해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등 국외 악재에도 금융당국이 컨틴전시 플랜을  세우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 있다.ⓒ연합뉴스/EBN

홍콩 시위 장기화를 비롯해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등 국외 악재에도 금융당국이 컨틴전시 플랜을 세우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 있다.ⓒ연합뉴스/EBN

홍콩 시위 장기화를 비롯해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등 국외 악재에도 금융당국이 컨틴전시 플랜을 세우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 있다.

특히 홍콩은 한국 신남방 진출 관문이자 아시아 금융 요충지로 꼽히지만 금융감독원은 홍콩사무소를 폐쇄한 상태다.

중추 거점을 상실한 금감원은 대체 사무소(싱가포르) 마련도 요원한 상황에서 외신을 통해 홍콩 상황을 관망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신남방 정책을 소화하기 위해 아시아 금융감독당국과의 금융협력 수준을 높여야 한다"라면서 "해외사무소 기능 강화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2018년 2월 금감원은 홍콩사무소 인력을 국내로 복귀시키면서 폐쇄 절차를 완료했다. 당시 감사원의 해외 사무소 폐쇄와 해외 인력 축소 권고를 수용한 결과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8년 감사원은 금감원에 홍콩 사무소를 없애고 대신 중국 북경 사무소에서 전체적으로 커버토록 하는 등 해외 사무소를 전체적으로 줄이라고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금감원 해외 사무소 주된 업무인 정보수집은 인터넷을 통해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사무소 폐쇄와 예산 감축을 권고했다. 해외 사무소의 필요성이 크지 않단 뜻이었다. 금감원장에는 해외 사무소의 전면 정비 및 폐지 방안 수립을 주문하기도 했다.

홍콩사무소 폐쇄(2018년2월) 1년4개월이 지난 지난해 6월 홍콩에선 반중 시위가 발발했다. 시위가 깊어진 지난해 11월 홍콩의 국내 은행들은 컨틴전시 플랜을 수립하며 홍콩 사업장에 대한 업무 연속성 계획을 세웠다. 구룡반도를 비롯해 싱가포르와 중국으로의 이동 등 대안도 마련했다.

우리 금융사와 기업들이 홍콩을 요충자로 삼는 데에는 동아시아 금융허브로서 무역금융에 이점이 있고, 중국기업과 직접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법인세와 무관세 혜택도 홍콩의 장점으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중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속도가 빨라지면서 30일 현재 중국내 사망자가 170명으로 급증했다.

홍콩과 마카오에서도 감염 사례가 총 20여 건으로 늘었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지휘 아래 바이러스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확산을 막기에는 역부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거점을 폐쇄한 금감원으로선 아쉬운 대로 거시건전성감독국을 통해 국내 은행권의 대응 플랜이나 홍콩 관련 동향, 시장 점검 등을 주시해왔다. 특히 은행의 경우 홍콩에 대한 익스포저 등이 점검 대상이다.

홍콩이 우리나라 핵심 수출품목의 중국 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어 금감원에선 홍콩을 한국경제 주요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홍콩 상황이 악화되면 금융시장 불안은 물론 중계무역 등 실물 경제도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놨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 규제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홍콩 사태가 악화하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커질 수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의 대(對)홍콩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크지 않고, 홍콩 주가지수 연계 파생결합증권(ELS)의 손실 가능성도 아직은 미미하다고 판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금감원 홍콩 사무소 폐쇄가 한국의 글로벌 금융업을 비롯해 현지정보 수집 활동이 약해졌다는 시그널로 인식될 수 있어 국제 금융권에서 외톨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 금융사와 홍콩 정부 간의 교두보 역할을 했던 홍콩사무소가 사라져 사업 확대에 애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고 말했다.

홍콩에 법인을 둔 금융사 관계자는 "금감원 홍콩 사무소가 폐쇄된지 2년이 지난 현재 부족하나마 홍콩 주재 총영사관을 통해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라진 홍콩사무소를 대체할 수 있었던 싱가포르 사무소도 감사원 지적으로 개설이 무산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용 문제를 이유로 한국을 대표하는 현지 금융기구 사무소를 폐쇄하는 것은 부정적인 정치적 메시지를 제공한다"면서 "홍콩에선 사무소가 사라지고, 싱가포르에선 사무소 설치 약속이 무산됐는데 한국 금융당국의 행태로 인해 한국 금융사들에 대한 비협조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감독 수장도 해외 사무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해외사무소장 간담회를 열고 각 사무소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주요 현안에 대한 각국 대응을 자세히 파악해 달라"고 주문하면서 "정부의 신남방정책을 소화하기 위해 아시아 금융감독당국과의 금융협력 및 해외사무소 기능 강화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현재 금감원은 중국(북경)과 미국(뉴욕, 워싱턴 DC), 영국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일본 동경, 베트남 하노이 등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이날 금감원은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금융회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현황 파악에 나섰다. 금감원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 금융회사 중국 주재원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연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28.62 47.13(-1.76)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6 05:56

93,559,000

▲ 17,000 (0.02%)

빗썸

04.26 05:56

93,421,000

▲ 170,000 (0.18%)

코빗

04.26 05:56

93,427,000

▼ 1,006,000 (1.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