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6.8℃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7.5 -3.5
EUR€ 1453.1 -4.4
JPY¥ 890.5 -1.9
CNY¥ 185.8 -0.3
BTC 100,275,000 605,000(-0.6%)
ETH 5,060,000 39,000(-0.76%)
XRP 904.4 21.8(2.47%)
BCH 880,500 63,900(7.83%)
EOS 1,601 91(6.0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고객정보 유출사고가 주는 교훈

  • 송고 2014.01.20 18:39 | 수정 2014.01.23 15:05
  • 임민희 기자 (bravo21@ebn.co.kr)

“개인정보는 유출됐지만 유통은 되지 않았다.”

최근 KB국민ㆍ롯데ㆍNH농협카드의 고객정보가 대거 유출되면서 피해 고객들의 민원 및 해지사례가 폭주하자 각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금융당국 수장들이 ‘고객달래기’ 차원에서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있는 말이다.

20일 카드 3사 사장들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카드번호, 유효기간, 비밀번호 등이 유출되지 않은 만큼 카드 위ㆍ변조 등의 피해는 없을 것”이라며 “만약 부정사용 등의 피해가 발생하면 전액 보상하겠다”고 후속대책을 내놨다.

이날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도 각기 언론을 통해 ‘피해발생시 전액보상’ 과 ‘CEO 중징계’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금융지주사 내 자회사간 정보공유 남용 문제에 대해서도 개선의지를 피력했다.

이들은 “불법 유출된 개인정보는 유통 전에 검찰에 의해 모두 압수됐기 때문에 2차 피해는 없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고객들의 불안감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인 듯하다.

이번 카드 3사에서 유출된 고객정보는 1억400만건으로 성명, 휴대전화, 주민번호, 결제계좌, 신용등급 등 주요 정보가 포함됐다. 중복을 감안하더라도 최소 2천만명의 신상이, 그것도 한 신용정보회사(KCB) 직원의 부도덕한 욕심 때문에 몽땅 털리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더욱이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UN 사무총장 등 주요 공직자들과 국회의원, 연예인 등 유명 인사들도 개인정보 유출사고 피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쯤 되자 고객들의 카드해지 건수도 급증하는 추세다.

카드 3사의 민원통계 현황(19일 18시)을 보면 국민카드의 경우 카드재발급 신청은 1천195건 카드 해지는 5천94건에 달했고, 롯데카드는 2천700건의 재발급 신청 외에 아직까지 탈퇴회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의 경우 콜센터를 통해 재발급 1천508건, 탈퇴회원 신청은 471건을 기록했다.

금융당국과 카드사들의 호언장담(?)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의 민원이 폭주한데는 금융권에 때한 뿌리 깊은 불신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롯데카드 사용 고객의 경우 자신이 2차 피해(대출 스팸문자 급증)를 입었다며 민원을 제기해 금융당국이 진상파악에 나섰다.

결국, KB금융그룹 집행임원과 이건호 KB국민은행장,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정보유출 사고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한데 이어 손경익 농협카드 분사장도 사표를 제출했다.

그러나 금융사 CEO 몇 명이 그만두는 걸로 수습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특히 금융지주회사법상의 계열사간 고객정보 공유 허용을 이유로 은행의 고객정보(DB)를 카드, 보험 등 자회사들이 무분별하게 남용한데 대해 지주사 차원에서 제대로 관리했는지, 금융당국이 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 책임도 따져봐야 할 대목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금융당국 수장들도 도의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사실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고는 비단 어제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2010년~2011년 기간에 삼성카드와 현대캐피탈, 하나SK카드, 한국시티은행에서 대규모 고객정보가 유출돼 내부통제 및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체감한 바 있다.

지난해 12월에도 검찰수사 과정에서 한국SC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이 은행권 최대규모인 13만7천건의 고객정보가 유출돼 큰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터질 때마다 관련금융사들은 ‘해킹피해’ 혹은 ‘개인비리’를 이유로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여 왔다. 자신들의 IT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은 완벽한데 ‘전문 해커가’ 또는 ‘내/외부 직원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유출될 수 있다는 안일한 태도를 보이기 일쑤였다.

금융당국 역시 그간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CEO 중징계’ ‘제도 개선’ 등 땜질식의 방안만 내놨을 뿐 실상 근본적인 대책과 실천은 없었다.

또다시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식의 처방이 되겠지만 이제라도 금융사의 고객정보보호에 대한 철저한 보안과 시스템 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 자회사간 정보공유 차단 등 실효성있는 대안도 마련돼야 한다.

특히, 금융사와 금융당국을 감시, 견제할 수 있는 독립적인 금융소비자보호기구 설립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다시금 상기하게 된다.

성난 국민들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는 길은 진정성 어린 사과와 철저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노력일테니 말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23:17

100,275,000

▼ 605,000 (0.6%)

빗썸

03.29 23:17

100,217,000

▼ 747,000 (0.74%)

코빗

03.29 23:17

100,222,000

▼ 770,000 (0.7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