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8
10.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1.0 0.0
EUR€ 1455.9 -6.9
JPY¥ 892.1 -0.6
CNY¥ 186.0 -0.2
BTC 100,120,000 29,000(-0.03%)
ETH 5,084,000 27,000(-0.53%)
XRP 882.3 3.1(-0.35%)
BCH 803,700 104,800(14.99%)
EOS 1,507 16(-1.0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기자수첩] 조선업계, 그래도 해양플랜트가 답이다

  • 송고 2015.07.31 15:55 | 수정 2015.08.04 13:42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한때 업계 블루오션이자 한국 수출산업의 효자로 칭송받던 해양플랜트 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3조원대에 이르는 대우조선해양 실적 부실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다.

대우조선해양만의 문제만은 아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부실이 쌓여만 가는 해양플랜트에 항상 골머리다.

해양플랜트 사업의 유망함을 믿고 이 회사들에 투자했던 주주들은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자동차 및 철강, 전자, 기계 등 전·후방 산업 내지 기타 제조업체들도 안 그래도 불황에 시달리는데 “혹시 우리 회사도?”라는 불안감에 잠을 못 이룰 지경이다.

그렇다면 ‘공공의 적’으로 위상이 추락한 해양플랜트를 접어야 하는 게 답일까. 결론부터 내자면 ‘노(No)’다. 그래도 해양플랜트이어야 하는 이유는 물론 여러 가지지만 큰 틀만 뽑자면 세 가지다.

우선 현재 조선업계 정황상 해양플랜트 외 키울만한 신성장동력이 없다.

기존 벌크선 내지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으로 대표되는 상선의 경우 한국 조선업체 외에도 제조가 가능한 업체는 세계에 얼마든지 많다. 한때 국내 조선업체가 상선 시장을 주름잡았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10여년 동안은 물량공세를 앞세운 중국에 수주액 및 수주량 1위 자리를 내주고 있는 상황이다.

물량이 안 되면 품질로 승부해야 한다는 점에서 해양플랜트는 역시 매력적인 아이템이다. 척당 최소 5억 달러대인 만큼 상황에 따라서는 1억 달러 전후에 불과한 상선보다 수십배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크루즈선 사업도 해양플랜트 버금가는 고부가가치 사업이긴 하지만 인프라나 수요가 전무하다시피 한 국내에서의 활성화는 수십년이 걸려도 요원해 보인다. 비록 건조 부문뿐이라지만 불과 5년여 만에 세계 1위를 달성한 해양플랜트와는 애초부터 비교가 불가능한 것이다.

물론 해양플랜트의 설계나 기자재 조달 부문에서 국산화가 진척되지 않아 해외업체에 로얄티 지급이 불가피는 하다. 하지만 해양플랜트도 신사업인 것을 감안하면 범용적으로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모자라는 부분은 점진적으로 개선하면 될 일이다.

실제로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도 모두 자체적으로 설계 관련 연구·개발(R&D)센터를 운영 중이다.

둘째로 해양플랜트를 포기하면 한국이 갖고 있는 세계 조선업계 헤게모니를 중국에 넘겨야 한다.

상선 부문만 따져도 한국이 40여년 만에 이룬 성과를 불과 10여년 만에 초과 달성한 중국이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정부 지원과 월등한 건조 인프라로 전자나 철강 등 모든 제조업 전반에서 한국의 아성을 위협하는 상황이다.

조선 부문도 중국이 한국의 턱밑까지 쫓아온 마당에 해양플랜트 노하우와 기술까지 이전받을 경우 벌어질 일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마지막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도 해양플랜트는 필수불가결한 사업이다.

삼성중공업의 25억 달러 규모 해양플랜트인 해양가스처리설비(CPF)를 예로 들어보자. 이 사업에 몰두하는 삼성중공업 정직원과 하청업체 직원 비율은 3대 7 정도로 알려졌다.

울산이나 거제 도크에서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도 별반 차이는 없다. 해양플랜트 사업이 죽게 되면 수천개 지역 하청업체와 수만명의 직원들도 막막해진다. 이들이 거리에 내몰린다고 현 정부에게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거나 구제해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곤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앞서 언급했지만 한국은 해양플랜트 공정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건조 부문에서 세계 1위의 경쟁력을 가진 조선사들을 보유한 나라다. 현재는 저유가인 만큼 수요가 줄었고 이로 인한 인도 지연이 늘어나며 손실이 커졌을 뿐 반대 상황(고유가)이 온다면 언제고 부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물론 부실규모가 워낙 큰 만큼 조선사들이 단기적으로는 구조조정 등 체질 개선을, 장기적으로는 3년여 밖에 되지 않는 조선사 사장들의 임기를 늘리는 등 구조적 처방을 전제로 해서다.

국내 조선업계가 이번 대우조선해양 사태를 더욱 성장하게 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8 19:32

100,120,000

▼ 29,000 (0.03%)

빗썸

03.28 19:32

100,020,000

▼ 78,000 (0.08%)

코빗

03.28 19:32

100,171,000

▼ 36,000 (0.0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