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670,000 2,278,000(2.49%)
ETH 4,474,000 68,000(1.54%)
XRP 741.3 24.4(3.4%)
BCH 695,300 8,200(1.19%)
EOS 1,149 59(5.4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금융 위기설 감돈 신흥국에 대한 엇갈린 시선

  • 송고 2015.09.03 10:10 | 수정 2015.09.05 11:13
  • 차진형 기자 (jinhyung@ebn.co.kr)

美 금리인상 코 앞…통화약세 속 리스크 전염 확산

“시스템 문제, 위기 넘길 기초체력 충분” 긍정론도

고정환율제도와 자율변동환율제도의 비교ⓒ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고정환율제도와 자율변동환율제도의 비교ⓒ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위기의 9월이 도래했다. 그러나 위기설이 불거지고 있는 신흥국을 바라보는 시선은 엇갈리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신흥국의 위기설의 진원지는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경기둔화 이슈에서 불거졌다.

실제 지난달 신흥국 통화는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던 상황에서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하자 신흥국 통화가치는 폭락했다.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 확산 배경에는 과거의 경험에서 시작된다.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하고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던 9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시장은 아시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환위기를 맞이했던 경험이 있다.

당시에도 유가, 원자재 가격, 신흥국 통화가치, 이머징 주가 등 끝없는 낙폭을 기록하며 신흥국들의 부도 위험 지수가 높아졌다.

더욱 문제는 중국이 그 때보다 더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아시아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013년에도 신흥국 위기가 있었지만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를 연기하면서 충격을 완화해 줬다. 그러나 미국 금리인상 시기가 9월이 아니고 지연될 경우 정책 불확실 리스크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국 리스크도 신흥국 금융불안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이라며 “막대한 유동성을 투입하고도 증시 부양책이 실패할 경우 그 충격파는 고스란히 신흥국으로 전이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일각에선 잡음은 있어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긍정적 견해도 있다.

최진호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신흥국 부도 가능성은 낮다. 지금 위기설의 진원지는 환율 문제인데 이는 시스템 문제일뿐 국가적 위기 상태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환율제도 변경 ▲국가별 거시 안정성 강화 ▲기업들의 외자차입 경로 다변화 등을 이유로 신흥국 부도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환율제도 변화는 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부터다.

동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필리핀,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고정환율제,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사용했다.

이들 환율제도는 외부충격으로 자금 유출이 발생하면 정부는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통화가치 하락을 방어해야 하는데 이는 충분한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거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때문에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해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에쿠아도르,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필리핀, 러시아, 남아공, 태국 등이 자동변동환율제도로 변경했다.

최진호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자율변동환율제도에서 환율 상승은 그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다. 물론 환율 상승이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고 금리를 높여 내수 소비를 위축시키는 부정적 효과는 있지만 내수 경기의 위축이, 곧 국가 부도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갑자기 디폴트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늘날 신흥국가의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은 대부분 80% 이하 수준으로 단기외채에 대한 방어력도 양호한 편이라고 진단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2:14

93,670,000

▲ 2,278,000 (2.49%)

빗썸

04.20 12:14

93,540,000

▲ 2,740,000 (3.02%)

코빗

04.20 12:14

93,688,000

▲ 2,857,000 (3.1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