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9.8℃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7.5 -3.5
EUR€ 1453.1 -4.4
JPY¥ 890.5 -1.9
CNY¥ 185.8 -0.3
BTC 100,288,000 587,000(-0.58%)
ETH 5,057,000 51,000(-1%)
XRP 895 10.1(1.14%)
BCH 885,800 73,600(9.06%)
EOS 1,601 85(5.6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저유가 덫에 빠진 조선 빅3, 저성장 시대 대안은

  • 송고 2015.12.07 17:27 | 수정 2015.12.08 08:07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저유가 지속에 해양플랜트 수요 급감… 마땅한 대안 없어

벌크선 외 상선수주 및 설계 등 부족 분야 R&D 집중 필요

대우조선해양 해양시설.ⓒ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해양시설.ⓒ대우조선해양

‘조선 빅3(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의 해양플랜트 수주가뭄이 오는 2016년에도 이어질 전망인 가운데 장기적 대책 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글로벌 불황에 저유가 현상까지 고착화되면서 심해 시추설비 등의 수요는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대형 조선업체들의 저성장 구조 지속이 불가피한 만큼 해양플랜트 설계 등 부족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현지시간)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배럴당 39.11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9.97달러에 마감했다.

두바이유의 경우 배럴당 30달러대로 떨어진 것은 7년여 만이다. 여기에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합의가 불발되면서 저유가 현상은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양플랜트에 대한 수익 의존도가 높은 조선 빅3에도 초비상이 걸렸다.

당초 조선 빅3는 유가가 고공비행을 하던 지난 2013년만 해도 해양플랜트에서만 243억 달러를 수주한 바 있다. 이는 전체 연간 수주량(500억 달러)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이하로 추락하자 오일메이저들의 해양플랜트 발주도 줄어들기 시작했다. 조선 빅3의 지난해 해양플랜트 수주액은 119억 달러로 전체 수주량(331억 달러)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 들어서는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61억 달러가 현재까지 유일한 해양플랜트 수주금액이다. 설상가상으로 빅3는 기수주 해양플랜트 프로젝트의 부실까지 쌓이면서 신규수주 여력조차 없는 상황이다. 저유가에 글로벌 경기 불황까지 겹쳐 상선수주도 줄어들면서 수익성이 대폭 하락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같은 해양플랜트 수주액 반토막 현상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IB) 1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 유가 평균치는 배럴당 53달러선으로 전망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애물단지로 전락한 해양플랜트를 대체할 수 있는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그나마도 여의치 않다.

벌크선 등 일반상선 부문은 이미 중국의 추격을 허용한 상태이며, 선박해체사업 등은 이미 사양길로 접어든지 오래다. 한때 조선업계 새먹을거리로 급부상했던 풍력사업은 3사가 이미 정리 수순에 들어갔을 정도로 시황이 좋지 않다.

해양플랜트 버금가는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크루즈선 사업이 언급되곤 하지만 국내 인프라나 수요 측면에서 중단기적 성장 가능성이 없다.

반면, 드릴십 등 시추선을 포함한 해양플랜트 시설은 한기당 최소 5억 달러대를 웃도는 만큼 시황여부에 따라서는 1억 달러 전후에 불과한 상선보다 수십배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홍성인 산업연구원은 “현재로서는 해양플랜트 수익성을 대체할 수 있는 빅3의 대안이 많지 않아 보인다”며 “결국 저유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향후 1~2년은 국내 조선업계 저성장 기조가 불가피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저성장 국면에서 국내 조선업체들의 취약 부분인 설계부문 강화 및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정부 차원의 R&D 투자 등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해양플랜트 분야가 고수익이기는 하지만 현재 같은 불황 시에는 막대한 손실이라는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빅3의 조단위 부실사태 원인도 건조를 제외한 설계 등 부문의 높은 외국업체 의존도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만큼 향후 일괄도급을 위한 사전준비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상태다.

실제로 빅3 및 기자재업체들은 최근 해양플랜트 생산 원가를 낮추고 납기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글로벌 표준화를 적극 추진하는 기술정책 워크숍을 열기도 했다.

홍 연구원은 “최근 부실사태는 시황 침체라는 근본적 원인 외에도 조선소 사장들의 짧은 임기기간, 해양플랜트 전문 설계인력 부족 등 시스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저유가를 계기로 당분간은 설계 등 모자란 부문에서 R&D 등을 통해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많이 추격했다고는 하지만 해양플랜트는 물론 상선 분야에서도 벌크선 외에는 한국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저성장 시대를 맞아 관련 분야 수주영업 및 해양플랜트 설계 등 노하우 부족 분야 R&D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23:02

100,288,000

▼ 587,000 (0.58%)

빗썸

03.29 23:02

100,207,000

▼ 677,000 (0.67%)

코빗

03.29 23:02

100,135,000

▼ 795,000 (0.7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