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4
11.9℃
코스피 2,669.24 46.22(1.76%)
코스닥 857.34 11.9(1.41%)
USD$ 1374.0 -2.0
EUR€ 1470.5 -2.0
JPY¥ 887.7 -1.0
CNY¥ 189.3 -0.3
BTC 96,265,000 984,000(-1.01%)
ETH 4,657,000 9,000(-0.19%)
XRP 787.2 21.4(-2.65%)
BCH 732,600 26,600(-3.5%)
EOS 1,209 29(-2.3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중대고비 맞은 한진해운…한진그룹 결단시기 임박

  • 송고 2016.07.29 11:05 | 수정 2016.07.29 11:13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주요선사 시스팬 “용선료 인하 안 하겠다”

유동성 확보안 제시로 협상력 끌어올려야

조건부 자율협약을 실시 중인 한진해운이 경영정상화에 있어 중대고비를 맞았다.

한국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납득할 수 있는 유동성 확보 방안 제시를 압박받고 있는 데 이어 최대 용선주 중 하나인 시스팬이 최근 용선료 인하를 거부한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한진해운이 채권단과의 문제를 해결한다 해도 용선료 협상이 진척되지 않으면 법정관리행이 불가피하다. 용선주 설득에 어려움을 겪다 극적으로 타결한 현대상선의 전례도 있듯 현재로서는 한진그룹의 통큰 결단을 발판으로 협상력을 좀 더 집중하는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9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게리 왕 시스팬 회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기존에 맺은 용선계약을 철회하려는 시도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왕 회장은 “그동안 어떤 해운사들로부터도 용선료 인하 요구를 받은 적이 없다”며 “계약 철회에 동의하느니 차라리 빌려준 선박을 철수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시스팬은 120여척의 컨테이너선을 보유한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선주사다. 현재 한진해운은 시스팬으로부터 1만TEU급 컨테이너선 7척을 빌려 운영 중이다.

한진해운의 자율협약 체결을 위한 주요 전제조건인 용선료 인하 협상은 기존에 맺었던 용선계약을 변경하는 행위다. 다수의 이해관계자들과 법적·금전적 문제로 얽혀 있을 뿐 아니라 회사간 신뢰문제도 달려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선사로서는 신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스팬의 경우 지난 5월 용선료가 연체됐다는 이유로 한진해운이 운영 중인 벌크선을 압류했던 전적도 있다. 현재 한진해운이 시스팬에 결제해야 할 연체료는 1160만 달러(한화 138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채권단에 따르면 시스팬은 그동안 한진해운의 용선료 인하 요구에 별다른 입장을 보이지 않아 왔다. 한진해운으로서는 이번 시스팬의 입장 정리로 경영정상화에 비상등이 켜지게 된 셈이다.

이미 자율협약 전제 자구안을 모두 달성한 현대상선도 한때 주요 선사 중 하나인 조디악이 계약 해지에 따른 법리적 문제 및 다른 해운 고객사와의 형평성 문제 등을 우려해 용선료 협상에 소극적으로 나서면서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용선료 협상력 제고 내지 자율협약 후 운영자금 확보 차원에서 채권단은 한진해운의 모그룹인 한진그룹이 7000억원 이상의 유동성 확보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오는 2017년 말까지 한진해운 경영에 필요한 자금은 총 1조원 정도다.

현재 한진해운은 2조원이 넘는 선박금융 원리금과 현재도 계속 쌓여만 가는 수천억원대의 용선료 연체료, 항만 이용료 등까지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1조원으로도 부족하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출연 등 그룹 차원의 통큰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이 채권단의 입장이다.

현재 한진해운 측은 시스팬 입장에 대해 아무런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 아직 다른 선사들과의 용선료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업체간 신용문제상 함부로 입장을 내놓을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채권단의 유동성 확보방안 제시에 대해서도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한진그룹으로서도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돌입할 경우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의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만큼 유동성 지원을 심각하게 고민 중인 상태다.

하지만 문제는 대한항공의 자금 사정도 썩 좋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채권단 요구대로 7000억원의 지원방안을 마련할 경우 유동성 문제가 그룹에 전이될 수도 있다. 한진그룹이 “4000억원까지 지원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채권단도 최대한 재무구조를 끌어올린 상태로 경영권을 받고 싶어하기 때문에 자율협약 만료기간도 연장해준 것”이라며 “따라서 유동성 확보 문제는 나중에라도 해결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용선료 협상”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시스팬 측이 거부의사를 확실히 한 이상 협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라도 유동성 문제와 용선료 협상 문제는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며 “협상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한진그룹 측의 결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69.24 46.22(1.76)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4 09:12

96,265,000

▼ 984,000 (1.01%)

빗썸

04.24 09:12

96,138,000

▼ 952,000 (0.98%)

코빗

04.24 09:12

96,167,000

▼ 949,000 (0.9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