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936,000 2,086,000(2.27%)
ETH 4,487,000 71,000(1.61%)
XRP 750.3 30.8(4.28%)
BCH 702,600 9,200(1.33%)
EOS 1,158 47(4.2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집값 상승하면, 아파트 착공 가능성 크게 줄어

  • 송고 2016.12.04 00:01 | 수정 2016.12.04 11:15
  • 신상호 기자 (ssheyes@ebn.co.kr)

주택가격 상승하거나 미분양 증가시 착공 가능성 급감

건설사들이 높은 분양가 기대하고, 착공 미뤄

주택 가격이 상승하거나,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면 주택 착공 가능성은 급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주택산업연구원 최성호 연구위원이 발표한 '수도권 주택건설 착공시기에 대한 생존분석' 논문에 따르면, 주택가격이 상승하거나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면 주택 착공 가능성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논문에 따르면 주택가격 연간 상승률이 1% 상승하면, 주택이 착공할 가능성은 85.4% 감소했다. 미분양물량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착공 확률은 22.8% 줄었고, 주택 가구수가 한단위 증가할 때마다 착공 확률은 0.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연구위원은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주택 공급자가 높은 분양가를 받기 위해 착공 시기를 늦추는 것으로 해석된다"면서 "미분양과 가구수가 증가할 때에도 인허가에서 착공에 이르는 기간이 길어졌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미분양이 증가하면, 사업자들이 미분양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착공 시기를 미루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가격상승률과 미분양증가, 주택가구수 증가 등 모든 요인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경우, 주택 유형별, 토지유형별로 착공 가능성이 차이가 났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보다는 다세대, 단독 주택 착공 확률이 높았다. 연립/다세대 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착공 가능성이 42.07% 높았고, 단독/다가구 주택도 37.43% 높았다.

다세대나 단독 주택은 의사결정과 행정 절차가 간소하기 때문에, 시장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토지 유형별로 보면, 공공택지에 비해 재건축 착공확률은 42.25%, 도시환경/주거환경은 36.01%, 민간택지는 15.79%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택지의 착공확률이 가장 빠른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동일한 시장 환경아래 공공택지가 인허가에서 착공까지 걸리는 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공공택지 공급 주택이 시장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번 논문은 지난 2005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14만176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3:44

93,936,000

▲ 2,086,000 (2.27%)

빗썸

04.20 13:44

93,792,000

▲ 2,155,000 (2.35%)

코빗

04.20 13:44

93,782,000

▲ 2,144,000 (2.3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