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9
11.8℃
코스피 2,634.70 50.52(1.95%)
코스닥 855.65 22.62(2.72%)
USD$ 1380.0 -3.0
EUR€ 1469.0 -6.9
JPY¥ 892.5 -3.5
CNY¥ 190.4 -0.6
BTC 93,557,000 1,712,000(1.86%)
ETH 4,525,000 53,000(1.19%)
XRP 740.1 0(0%)
BCH 713,000 14,800(2.12%)
EOS 1,125 31(2.8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내년 트럼프노믹스 호재 될까?…한국, 보호무역주의로 수출 악영향

  • 송고 2016.12.25 13:05 | 수정 2016.12.25 13:05
  • 유승열 기자 (ysy@ebn.co.kr)

2017년 세계 3.2% 성장 …G20 중 제조업강국 韓 등 7개국 성장 악영향

한국경제 올 2.7%→내년 2.6%, 노무라 "내년 2.0%, 내후년 1.7%" 전망

ⓒ

세계 경제가 내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경기 부양책과 유가 상승을 바탕으로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올해 2%대에서 내년에는 다시 3%대를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트럼프가 공약대로 보호주의 무역 기조를 강화할 경우 한국을 비롯해 제조업과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 독일 등의 경제 성장률은 부진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25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IB 41곳의 내년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중간값은 3.2%로, 올해(2.9%)보다 높았다. 이는 지난해 성장률과 동일한 수치다.

IB 가운데서도 바클레이스와 골드만삭스 등은 내년도 성장률이 3.5%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2018년도 성장률 전망 중간값은 3.4%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IB들은 전망했다.

이처럼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 것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합의로 국제유가가 반등하기 시작한 데다가 트럼프의 경제정책인 ´트럼프노믹스´의 효과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트럼프는 당선 직후 연설에서 인프라 투자와 감세 정책을 통해 미국 경제를 일으키겠다고 밝혔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의 내년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 중간값은 2.2%로, 올해(1.6%)보다 크게 오를 전망이다. 2018년 성장률 전망치는 2.3%였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넘고 내후년에 60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산유국 경제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러시아, 브라질 등은 지난해와 올해 역성장을 했지만 내년에는 마이너스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올해 경제 성장률은 -0.6%일 것으로 추산되지만, 내년 전망치는 1.1%였다. 브라질도 올해 -3.4%에서 내년도 0.9%로 회복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브릭스의 성장률도 내년부터는 5% 선을 무난히 되찾을 것이라고 IB들은 예측했다.
반면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한국, 중국, 독일, 이탈리아, 멕시코,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7개국은 내년도 경제 성장률 전망이 올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국가는 대부분 제조업과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로, 트럼프가 보호주의 무역정책에 시동을 걸 경우 직격탄을 맞는 것이 공통점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37개 IB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 중간값이 2.6%로, 올해 2.7%보다 소폭 낮았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와 노무라 증권은 내년도 성장률을 각각 2.0%로 전망했으며, 특히 노무라는 2018년 성장률도 1.7%에 그칠 것으로 봤다.

국내 연구기관들의 전망도 대부분 3.0%의 벽을 넘지 못했다. LG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연구원의 내년도 한국 성장률이 2.2%에 그칠 것이라고 봤고 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은 각각 2.6%, 2.7%로 전망했다.

중국의 경우 당초 2020년까지 목표 성장률을 6.5∼7%로 제시했지만 이마저도 지키기 어렵다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최근 회의에서 트럼프 집권을 언급하며 내년도 성장률이 6.5% 아래로 내려가는 것도 용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가 중국 제품에 45%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하는 상황에서 무역 갈등에 따른 경제 타격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럽연합(EU) 내에서 제조업 1, 2위 국가로 꼽히는 독일과 이탈리아의 2017년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1.4%, 0.8%로 올해보다 낮았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4.70 50.52(1.9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9 08:17

93,557,000

▲ 1,712,000 (1.86%)

빗썸

04.19 08:17

93,380,000

▲ 1,663,000 (1.81%)

코빗

04.19 08:17

93,484,000

▲ 1,691,000 (1.8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