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9
8.8℃
코스피 2,634.70 50.52(1.95%)
코스닥 855.65 22.62(2.72%)
USD$ 1380.0 -3.0
EUR€ 1469.0 -6.9
JPY¥ 892.5 -3.5
CNY¥ 190.4 -0.6
BTC 93,286,000 1,226,000(1.33%)
ETH 4,522,000 32,000(0.71%)
XRP 739.9 2.6(-0.35%)
BCH 715,300 13,700(1.95%)
EOS 1,126 21(1.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문재인시대 개막] 미세먼지 잡는다는 문재인…“디젤차 어쩌나”

  • 송고 2017.05.10 06:00 | 수정 2017.05.10 06:45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신정부, 경유차 제한하고 친환경차 보급 확대 방침

준비되지 않은 업계 “맞는 말이지만 시간 더 필요”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 모습, 본문과 관련 없음.ⓒ현대자동차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 모습, 본문과 관련 없음.ⓒ현대자동차

문재인 열린우리당 후보가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가운데 자동차업계가 분주해질 전망이다.

문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감축을 위해 경유차 보유 제한 정책을 시사해온 만큼 기존 디젤차의 친환경차 교체작업 가속화 등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물론 디젤차량은 각국의 배기가스 규제 및 지난 2015년 글로벌 자동차업체 폭스바겐의 연비조작 파문 이후 판매량이 줄고 있는 상태다. 다만 국내 일부 수입차업체의 경우 아직까지는 디젤차량 판매량이 상당한 만큼 부담이 적지 않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문 당선인은 상반기 내 대통령 직속의 위원회를 설치하고 전기차·자율주행차·신재생에너지·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을 실시할 전망이다.

자동차업계의 경우 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정부 차원의 판매보조금 및 연구·개발(R&D) 지원비 등이 대폭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유해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디젤차종 등에 대한 규제는 강화된다.

문 당선인은 5년 임기 내 미세먼지 배출량 30%를 감축한다는 목표다. 자동차와 관련해서는 △경유차 감축 및 노후 경유차 교체 △친환경차 보급 확대 지원 △노선버스 압축천연가스(CNG)버스로 전면 교체 △대형 경유 화물차·건설장비 저감 장치 설비 의무화 △노후 오토바이(260만대) 전기오토바이로 전환 등이 추진된다.

특히 디젤차종의 경우 연료인 경유가격을 인상하고 오는 2030년까지는 경유차 운행을 전면중단하는 방안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물론 현대·기아자동차처럼 디젤 외에도 가솔린 및 친환경 라인업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완성차업체들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디젤을 주력으로 하는 일부 완성차업체나 물량수급에 한계가 있는 수입차업체들은 상당기간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가장 많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아온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나 BMW 코리아 등 독일차업체들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독일차업체들은 국내 수입차업계 판매량 중 60% 이상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 3월 수입차 베스트셀링 1위와 3위를 차지한 모델도 E220d(메르세데스 벤츠)와 520d(BMW)도 모두 독일차업체들이 보유 중인 디젤차량이다.

물론 폭스바겐 연비 파문 사태로 지난해부터 수입차업체들의 디젤차량 판매 비중이 대폭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다만 아직은 수입차 전체등록대수 중 디젤차량은 58%(지난해 기준)로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업체들도 디젤차량의 대안인 친환경차량의 판매 비중이 아직까지는 전체실적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고 보호무역주의가 대두되는 등 경영환경도 불투명한 상황에 디젤차량 등에 의무적으로 달릴 유해물질 저감장치 및 관련 R&D, 친환경차량으로의 전환 비용이 만만치 않다.

더욱이 친환경정책으로 CNG 및 액화석유가스(LPG) 연료 차량이 늘어나게 되면 가솔린차량 판매실적마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자동차업계는 유해가스 배출 규제 강화가 글로벌 추세인 것은 인정하지만 친환경차량으로의 라인업 전환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공약만으로는 신정부의 자동차 관련 정책 추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당분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면서도 “가성비와 저렴한 연비 때문에 디젤차량을 선택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기호도 염두에 둬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기차만 해도 충전소 부족으로 보급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관련공약은 없고 앞으로도 규제로만 일관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4.70 50.52(1.9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9 07:44

93,286,000

▲ 1,226,000 (1.33%)

빗썸

04.19 07:44

93,262,000

▲ 1,362,000 (1.48%)

코빗

04.19 07:44

93,279,000

▲ 1,381,000 (1.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