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6
10.8℃
코스피 2,628.62 47.13(-1.76%)
코스닥 853.26 8.97(-1.04%)
USD$ 1375.0 -3.0
EUR€ 1475.2 1.1
JPY¥ 884.0 -3.0
CNY¥ 189.4 -0.1
BTC 93,028,000 112,000(-0.12%)
ETH 4,551,000 5,000(-0.11%)
XRP 761.4 16.5(-2.12%)
BCH 688,500 14,800(-2.1%)
EOS 1,225 17(1.4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너무 높은 전력수요 증가율…文 '탈원전·탈석탄' 발목잡나

  • 송고 2017.07.23 06:00 | 수정 2017.07.23 10:26
  • 윤병효 기자 (ybh4016@ebn.co.kr)

7월21일 올해 최대수요 발생, 전년대비 수요 7.7% 증가

2021년까지 10GW 신규 건설, 증가율 높아 수요감소책 필요

월성 원자력 발전소.

월성 원자력 발전소.

여름과 겨울철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탈석탄 정책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1일 17시 전력수요 8458.6만kW, 공급예비력 1040만kW(예비율 12.3%)가 발생해 올해 최대수요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한때 공급예비력이 1000만kW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날 전국 최고기온은 서울 32도, 강릉 35도, 대전 34도, 대구 37도, 전주 34도, 부산 31도였다.

20일에도 15시 전력수요 8455.8만kW, 공급예비력 1015.4만kW(예비율 12%)이 발생했다.

아직 본격적인 여름철 더위가 시작되지 않았는데도 전력수요는 역대 최고 수준까지 도달했다.

역대 가장 많은 전력수요는 2016년 8월12일 기록한 8518.3만kW, 공급예비력 721.2만kW(예비율 8.5%)이다. 당시 전국 기온은 서울 36도, 광주 37도, 대구 38도, 대전 37도 등 그야말로 불볕더위였다.

올해 7월 1일부터 21일까지 일평균 최대수요는 7636.7만kW로 지난해의 7089.9만kW보다 547만kW(7.7%) 증가했다. 이는 최신 원전 5기 규모다.

이처럼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자칫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탈석탄 정책이 지연되는 등 차질이 발생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료=전력거래소]

[자료=전력거래소]

실제로 문 정부는 수명이 30년 이상된 석탄발전소 10기를 5년내(임기) 가동을 중지할 예정이다. 대상은 보령1·2호기(1000MW), 서천1·2호기(400MW), 삼천포1·2호기(1120MW), 영동1·2호기(325MW), 호남1·2호기(500MW)로 총 3345MW 규모다.

또한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도 연장 없이 가동을 중단할 방침이다. 이미 지난 6월 고리1호기(587MW)를 영구 정지시켰으며, 연장 여부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인 월성1호기(679MW)도 곧 정지될 예정이다.

이어 고리2호기(상업가동 1983년 650MW), 고리3호기(1985년 950MW), 고리4호기(1986년 950MW), 한빛1호기(1986년 950MW), 한빛2호기(1987년 950MW) 도 수명 연장 없이 정지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모두 40년의 설계수명을 갖고 있다.

물론 신규 건설로 계통에 들어오는 발전량도 않다. 북평2호기(595MW)와 신보령2호기(1019MW), 영남복합1호기(470MW)는 올해 8월,9월,11월에 상업 가동한다. 신고리4호기(1400MW)는 2018년 9월 준공, 신한울1,2호기(2800MW)는 2018년 4월 및 2019년 2월 준공, 서울복합1,2호기(800MW)는 2018년 11월 준공한다. 또한 신서천화력(1000MW)은 2019년 9월 준공, 신평택천연가스발전(951MW)는 2019년 11월 준공한다. 고성하이1,2호기(2080MW)는 2020년 10월 및 2021년 4월 준공 예정이다. 총 1만255MW이다.

신규 발전량이 상당하지만 현재의 전력수요 증가율을 줄이지 않으면 탈원전 탈석탄 계획은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너무 낮아 산업용 수요가 비정상적으로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산업용 요금 인상을 예고한바 있다. 산업용부터 인상한뒤 가정용도 점진적으로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28.62 47.13(-1.76)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6 05:11

93,028,000

▼ 112,000 (0.12%)

빗썸

04.26 05:11

93,005,000

▲ 215,000 (0.23%)

코빗

04.26 05:11

93,001,000

▼ 1,432,000 (1.5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