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9
14.3℃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8.5 -1.5
EUR€ 1470.5 1.4
JPY¥ 892.0 -0.5
CNY¥ 190.2 -0.2
BTC 94,363,000 418,000(0.44%)
ETH 4,514,000 21,000(-0.46%)
XRP 728.9 9.6(-1.3%)
BCH 699,700 15,700(-2.19%)
EOS 1,146 39(3.5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생활물가 폭등 기세…회복세 접어든 경기성장에 찬물 우려

  • 송고 2018.01.04 11:02 | 수정 2018.01.04 12:06
  • 서병곤 기자 (sbg1219@ebn.co.kr)

지난해 '서민 체감물가' 생활물가지수 2.5%↑…7년만에 최대 증가폭

올해 경기회복·고유가·최저임금 인상 등 물가 상승 요인 '수두룩'

전문가들 "예상 물가 넘어설 경우 민간소비 위축 불가피 할 것"

작년 생활물가지수가 전년도보다 2.5% 올라 2011년(4.4%)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연합뉴스

작년 생활물가지수가 전년도보다 2.5% 올라 2011년(4.4%)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연합뉴스

[세종=서병곤 기자]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생활물가)가 지난해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올해에는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 증가와 고유가 지속, 최저임금 대폭 인상 여파로 더욱더 상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체감물가가 예상을 뛰어넘어 천정부지로 치솟을 경우 자칫 민간소비가 위축돼 현재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경기 성장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전기·수도·가스, 서비스를 포함한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도보다 1.9% 상승했다.

이는 2012년 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지수 가운데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도보다 2.5% 올라 2011년(4.4%)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지난 12월 기준으로는 1년 전보다 1.6% 상승했다.

참고로 생활물가지수는 서민들이 직접적으로 피부를 느끼는 장바구니물가(체감물가)로 불린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품목 중에서도 특히 기본적인 생필품과 소비자가 자주 사는 품목 142개의 판매가격을 종합해서 평균한 값을 기준으로 만든다.

문제는 서민들이 피부로 와 닿는 체감물가가 올해에는 대폭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 급증과 국제유가 상승 기조가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2014년 이후 3년 만에 3%대 실질GDP(국내총생산) 성장률 달성이 확실시 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출과 함께 민간소비가 올해 경제성장을 주도한다는 판단이다. 특히 민간소비의 경우 지난해보다 2.8%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의 전망대로 소비가 늘면 그만큼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아질 확률이 높아 물가 역시 상승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국제유가의 경우 올해 이란의 반(反)정부 시위가 장기화될 경우 배럴당 최대 1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만약 이것이 현실화되면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수입가격이 폭등해 소비재 가격도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도 올해 대폭 인상된 최저임금이 물가상승의 실질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지난 1월 1일부터 작년보다 16.4% 오른 7530원의 최저임금(시간당)이 적용됐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지난해보다 22만1540원 오른 157만3770원의 월급을 받게 된다.

그만큼 소상공인을 비롯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도 불가피한 셈이다.

곽해선 경제교육연구소장은 "임금이 급등하면 기업의 생산원가가 뛰어 제품 판매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데 여기에 원자재 가격 인상까지 더해지면 가격 상승폭은 배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를 반영한 듯 올해 최저임금 인상에 발맞춰 치킨 프랜차이즈 KFC는 지난달 29일부터 치킨, 버거, 사이드, 음료 등을 포함한 24개 메뉴 가격을 100∼800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롯데리아도 이에 앞서 불고기버거 100원, 새우버거 200원을 인상하는 등 버거와 디저트, 음료 가격을 올렸다. 놀부부대찌개도 지난달 대표메뉴인 부대찌개 가격을 종전 7500원에서 7900원으로 인상하는 등 전체 찌개류 가격을 평균 5.3% 올렸다.

신선설농탕 역시 대표 메뉴인 설농탕을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했다. 가구업체인 현대리바트는 오는 15일부터 침대와 식탁류 가격을 올릴 예정이다.

문재인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기업들의 제품가격 인상이 줄줄이 이어질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은 상황이다.

이같은 물가상승의 속도가 걷잡을 수 없이 빨라진다면 되레 민간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 수준을 감안한 실질 가구 소득은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만 고공행진을 한다면 서민들의 지출부담이 커져 소비가 자연스럽게 줄일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로서는 만일을 대비해 임금인상의 가격 전가를 완화하기 위한 대책과 물가안정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9 23:47

94,363,000

▲ 418,000 (0.44%)

빗썸

04.19 23:47

94,355,000

▲ 541,000 (0.58%)

코빗

04.19 23:47

94,225,000

▲ 300,000 (0.3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