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8
26.8℃
코스피 2,639.65 55.47(2.15%)
코스닥 855.55 22.52(2.7%)
USD$ 1373.4 -9.6
EUR€ 1467.4 -8.5
JPY¥ 890.2 -5.8
CNY¥ 189.6 -1.4
BTC 90,418,000 4,917,000(-5.16%)
ETH 4,402,000 203,000(-4.41%)
XRP 728.5 12.5(-1.69%)
BCH 690,800 26,200(-3.65%)
EOS 1,078 38(-3.4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일자리 창출, '창업·혁신·글로벌化'에 해답 있다

  • 송고 2018.02.12 11:00 | 수정 2018.02.12 09:12
  •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코트라 '글로벌 혁신창업과 일자리 창출' 보고서 발간

온·오프라인 지원사업 모은 '넛지형' 플랫폼 지속 지원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혁신창업기업 육성이 일자리 창출 해법 중 하나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창업(Born Global)'은 설립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사업화를 시도하는 활동이다.

코트라(KOTRA)는 12일 발간한 '글로벌 혁신창업과 일자리 창출' 보고서를 통해 KOTRA 사업에 참가한 스타트업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분석하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다만 글로벌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명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넘어설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자국 사정에 맞게 진출형 vs 유치형으로 구분
글로벌 창업은 1990년대 후반 이후 해외진출에 불리한 중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높은 해외매출을 올리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주요국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국 상황에 맞춰 경쟁적으로 글로벌 창업기업을 육성중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시장을 가진 이스라엘 칠레 싱가포르 등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정책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스라엘의 경우 초기부터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가능성을 평가한 후 선진국과 양자간 펀드를 구성해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싱가포르는 해외진출(Out-Bound)보다는 글로벌 창업기업을 유치(In-Bound)하는 '스타트업 허브 정책'에 중심을 두고 있다

반면 미국 독일 등 큰 내수시장을 가진 국가들은 자국의 신성장 동력 확보 정책을 추진한다. 미국은 초기단계 창업지원이 쉽고 활발해야 한다는 의식 속에 스타트업 아메리카 이니셔티브(Startup America Initiative)를 추진했다.

그 결과 2010년 이후 미국 내에 155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가장 선도적인 스타트업 국가인 독일은 외국인 친화적 국제적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한다. 공공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독일 내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한다.

◇일자리 창출효과 높으나 초기~중기 정체구간 있어
코트라 스타트업 해외진출사업(2015~2017년)에 참가한 780개사를 분석한 결과 대상 기업의 평균 고용인원수는 연차가 높을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변화 측면에서 참가 기업들은 연평균 1.9명씩 평균 고용인원이 증가했으며, 2년 연속 참가한 기업 45개사를 놓고 봤을 때는 2.3배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창업 초기(1~2년)와 중기(5~7년)에 일자리 창출이 정체됨을 알 수 있다.

연차별 고용인원을 전체 창업기업과 비교하면 차이가 극명해진다. 첫해 고용인원은 차이가 없으나, 일반 창업기업은 연차가 높아짐에도 고용인원이 정체돼 7년차 기업의 경우 글로벌 창업기업과 일반 창업기업의 평균 고용인원수는 3.8배가 차이난다.

780개 중 설문에 응답한 91개사에 따르면 사업 참가 후 국내 성과로는 연구개발 등 정부자금지원 대상선정(47.8%), 액셀러레이터/인큐베이터 입주(28.3%) 등이, 해외성과로는 상품·서비스수출(48.6%), 해외법인·지사설립(27.0%)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넛지형 플랫폼'으로 죽음의 계곡 탈출 지원해야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는 해외진출에 성공한 스타트업 비율이 저조하다. 따라서 국내에 다양한 창업기관이 양성한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글로벌화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규모 스타트업의 경우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넛지형 플랫폼 지원제도를 적극 이용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체 수출역량이 부족한 창업 기업들을 위해 개방형 플랫폼 지원제도를 통해 온·오프라인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토록 유인하는 것이다.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화에 대한 이점을 널리 알리면서 다양한 진출지원제도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

'넛지 효과(Nudge effect)'란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돕는 행위를 뜻한다. 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리차드 탈러 시카고대 교수와 카스 선스타인 하버드 교수가 공저한 저서 ‘넛지’를 통해 널리 알려진 개념이다.

윤원석 코트라 정보통상협력본부장은 "창업기업 혼자서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기 어렵다"면서 "정부와 유관기관의 맞춤형 제도를 지원하면서 창업기업의 글로벌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9.65 55.47(2.1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8 15:11

90,418,000

▼ 4,917,000 (5.16%)

빗썸

04.18 15:11

90,229,000

▼ 4,866,000 (5.12%)

코빗

04.18 15:11

90,299,000

▼ 4,867,000 (5.1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