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8
10.8℃
코스피 2,745.82 9.29(-0.34%)
코스닥 910.05 1.2(-0.13%)
USD$ 1350.5 -0.5
EUR€ 1457.2 -5.6
JPY¥ 892.0 -0.7
CNY¥ 185.9 -0.3
BTC 100,598,000 459,000(0.46%)
ETH 5,102,000 1,000(-0.02%)
XRP 885.7 0(0%)
BCH 826,900 124,700(17.76%)
EOS 1,518 1(-0.0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기대치 높아진 전기차 배터리…어떤 변화가?

  • 송고 2018.06.26 06:00 | 수정 2018.06.26 08:47
  • 권영석 기자 (yskwon@ebn.co.kr)

코발트값 8만달러대 안정세·중국 '진입장벽' 변화도 감지...업계 기대감 높아져

삼성SDI 직원들이 중대형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SDI]

삼성SDI 직원들이 중대형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SDI]

한동안 천정부지로 치솟던 코발트 등 원자재 가격이 안정을 찾고 진입 장벽을 치던 중국 시장에 변화가 감지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 공업신식화부 측에 한국산 배터리 금지령 해제를 요구한데 이어, 해외 기술규제 관련 수출길 모색에 나서는 등 사업 환경도 나아지는 조짐이다. 이에 LG화학과 삼성SDI 등 배터리업계 표정에도 변화가 이는 모습이다.

26일 조달청 국제원자재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22일 기준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코발트(99.80%) 가격은 톤(t)당 8만9949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5월 월평균 가격인 9만6077달러와 비교해 톤당 6128달러 내려간 금액이다. 지표로만 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속적으로 오르던 2차전지 원재료값 급등세가 일단 꺾이는 형국이다.

배터리 양극재의 핵심 소재인 코발트는 지난 2016년 말 이후 주요 생산국인 콩고의 내전 장기화 등으로 공급이 줄어들고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세 배 가까이 오른 바 있다. 이렇게 주요 원자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면서 국내 배터리업계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배터리업계는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흑자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 원재료 가격의 하락으로 수익성 개선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업계는 코발트 등 원재료 확보에 사활을 걸어 왔다.

리튬 생산국인 칠레 현지에 소재 생산 공장을 세우거나 기업간 코웍(cowork) 혹은 조인트벤처(JV)와 같은 장기대책을 짜는가하면, 글로벌 광산회사로부터 공급 계약을 맺는 등 각기 수급 방법도 다양했다.

원재료값이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업계는 한숨을 돌리는 눈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기차 배터리의 원재료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한 이슈가 됐다"며 "메탈 가격의 불안정성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가격 안정화는 업계에겐 희소식"이라고 말했다.

또 글로벌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이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빗장을 풀려는 움직임도 추후 호재로 지목된다.

특히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공업신식화부 먀오웨이 부장(장관)측에 한국산 전기차 배터리 금지령 해제 요구 이후 업계 현안회의를 여는 등 시장 변화를 꾀하고 있다.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의 최대 수요국가로 한국 주요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이다. 거꾸로 말하면 중국 정부의 견제로 사업 기회가 줄어들수록 수익·실적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중국은 자국기업 육성과 사드배치 보복을 위해 2016년부터 삼성SDI와 LG화학 등 국내 배터리가 들어간 차량을 보조금 명단에서 제외해 왔다.

중국에서 전기차 보조금은 차량 가격의 절반에 달한다. 그만큼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현지 판매가 어렵다. 이 때문에 국내 배터리업계 피해가 계속돼 온 것.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기술표준원과 함께 '18년 제2차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기술장벽(TBT) 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 중국 등 14개 당사국들과 우리기업의 수출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29개 해외기술규제에 대한 해소방안을 협의했다.

이에 중국 시장 진출 시 주요 이슈인 전기자동차·배터리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의 규제에 대해 개선·철회하거나 유예키로 했다.

관련 업계는 전기차와 배터리 관련 국가표준을 개발하는 중국표준화위원회에 현지 우리기업도 참여할 수 있도록했다는 점을 들어 우리 기업의 부담 완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란 평을 내놓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우리 기업들의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국의 기술규제에 대해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것은 고무적"이라며 "양자·다자 협상 등을 통해 중국 및 업계간 소통이 강화되면 배터리시장도 점차 활기를 띨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5.82 9.29(-0.3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8 20:23

100,598,000

▲ 459,000 (0.46%)

빗썸

03.28 20:23

100,539,000

▲ 439,000 (0.44%)

코빗

03.28 20:23

100,560,000

▲ 353,000 (0.3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