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4.1℃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826,000 276,000(0.3%)
ETH 4,490,000 5,000(-0.11%)
XRP 754.7 29.7(4.1%)
BCH 701,000 2,900(-0.41%)
EOS 1,160 40(3.5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美 뒤쫓는 금리 인상보다 경기회복에 신경써야"

  • 송고 2018.07.10 15:29 | 수정 2018.07.10 15:28
  • 강승혁 기자 (kang0623@ebn.co.kr)

올해 금리 인상 1회도 어려울 듯…"외인자금 유출입, 환율 영향 더 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한국은행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은 한국과 미국 간 정책금리 역전보다 국내 경기 흐름에 더 비중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 경제 상황으로 보면 한국은 올해 한 차례도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진단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 '한미 정책금리 역전 확대 및 외국인자금 유출 리스크 진단' 보고서에서 "한미 정책금리 역전의 근본적 원인인 우리 경제의 부진한 성장세 회복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적절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조합으로,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구조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해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올해 3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금리 인상으로 미국 정책 금리가 한국보다 0.25%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이어 지난달에 미국이 또 금리를 올리며 한·미 금리차는 0.5%포인트로 벌어졌다.

통상 한미 금리 역전이 생기면 외국인자금 유출 우려 때문에 한국도 금리를 따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조 위원은 그러나 중국, 대만, 태국, 체코 등 여타 신흥국 사례로 분석해보면 내외 정책금리 격차가 아니라 환율 변화 기대가 외국인자금 유출입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정책금리가 미국보다 낮더라도 해당국 통화 가치가 강세를 보이리라고 예상되면 기대 투자 수익률이 상승해 외국인자금이 유입된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2015년 이후 내외 정책금리 격차와 기대 환율 변화율 합계인 기대 투자 수익률과 외국인자금 유출 사이 상관계수가 0.5로 밀접한 편으로 파악됐다. 한국 정책금리가 올해 3~5월 미국보다 금리가 낮았음에도 외국인자금이 유입한 것도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북핵 리스크 완화 등으로 원화 가치 상승 기대가 고조하면서 한국 기대 투자 수익률은 1월 0.73%에서 5월 1.24%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주식, 채권, 차입을 모두 더한 외국인자금은 3월 33억 달러, 4월 48억 달러, 5월 81억 달러로 유입 규모가 점차 확대했다.

그러다가 6월 들어 한국 기대 투자 수익률은 0.81%로 낮아졌다.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정상화 움직임, 미·중 통상갈등 심화에 따른 수출 타격 우려 등이 원화 약세로 이어지면서다.

조 연구위원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순매도 금액이 5월 3000억원에서 6월 1조5000억원으로 늘어난 점을 들며 "기대 투자 수익률 하락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한·미 금리 역전 폭은 0.5%포인트에서 내년 1.0~1.5%포인트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 비해 한국 경기 회복세가 부진해서다.

조 연구위원은 "경기 회복세 안착이 불확실하고, 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낮은 점 등에서 한은이 올해 금리를 한 차례 인상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어 "한·미 금리 역전은 금융불안을 야기하는 근본 요인이라기보다는 한국 경제 성장세 하락, 한·미 성장세 역전의 결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시각에서 그는 미 정책금리 인상에 맞춰 한국이 따라가는 모습은 지양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경기 회복세 둔화 우려가 나오고 경기 흐름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오히려 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조 연구위원은 표면적으로 나타난 한미 정책금리 역전 해소보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 근본 원인인 부진한 경제 성장세 회복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장세가 높아지면 투자·소비 증가로 시중금리가 오르고 우리 경제 전망 개선으로 원화 가치도 오르면서 외국인자금 이탈 우려도 자연스럽게 완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6:14

93,826,000

▲ 276,000 (0.3%)

빗썸

04.20 16:14

93,689,000

▼ 254,000 (0.27%)

코빗

04.20 16:14

93,694,000

▼ 214,000 (0.2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