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30
2.8℃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7.5 -3.5
EUR€ 1454.6 -2.9
JPY¥ 890.3 -2.1
CNY¥ 185.7 -0.3
BTC 99,850,000 1,219,000(-1.21%)
ETH 5,027,000 61,000(-1.2%)
XRP 898.9 6.9(0.77%)
BCH 884,500 77,500(9.6%)
EOS 1,581 7(0.4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제조업 해외투자 "차이나 지고 베트남 뜬다"

  • 송고 2018.11.22 06:00 | 수정 2018.11.22 08:25
  •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對中·제조업·그린필드형' 감소…'對美·금융보험업·M&A형' 증가

베트남 투자 확대…법인세 혜택, 규제 완화, 임금수준 낮아 경쟁력↑

우리나라 제조업종의 해외 투자 중심지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하고 있다. 중국의 외국인투자 우대 축소 조치 등으로 베트남 등 신흥국으로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국내 투자 환경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對中·제조업·그린필드형' 줄고…'對美·금융보험업·M&A형' 늘어

22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우리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 과거에 비해 '對중국·제조업·그린필드형(신규공장설립형)' 투자가 줄어들고 '對미국·금융보험업·M&A형' 투자는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경연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외투자금액 중 對중국 투자액 비중이 2005년 39.4%에서 2017년 6.8%까지 낮아졌다. 반면 같은기간 對미국 투자는 17.2%에서 35%까지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2005년 해외직접투자의 절반이상(56.5%)을 차지했던 제조업 비중이 2017년 18%까지 하락했다. 2016년 역전됐던 금융·보험업(31.2%)과의 격차가 심화됐고, M&A형 투자가 급증(2000년 8.1%→2017년 47.1%)한 것도 특징이다.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對중국 및 對베트남 해외직접투자 추이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對중국 및 對베트남 해외직접투자 추이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조업 주력 투자국,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의 중심국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고 있다. 2000년대 한국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액의 44.5%를 차지했던 중국 비중이 2017년 27.6%로 축소되고, 1990년대 3.7%에 불과했던 베트남이 17.7%까지 확대됐다.

특히 중소 제조기업의 투자가 베트남으로 많이 이동했다. 2014년 처음으로 베트남 투자금액이 중국을 역전한 이후 2017년 중국 투자금액(4.3억 달러)보다 1.7배 더 많은 7.2억 달러가 베트남에 투입됐다. 대기업 제조업종의 경우 중국 투자가 감소세지만 아직은 베트남의 2.5배 수준이다.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제조업 투자 분야도 변화하는 추세다. 중국으로의 투자는 과거 저임금을 활용한 노동집약산업 위주에서 최근 고부가 산업 비중이 확대된 모습이다.

1990년대 對중국 주력 투자업종은 전자부품(23.4%), 비금속(9%), 자동차(8.1%), 섬유(7.8%), 의복(6.9%) 순이었으나 최근 3년간 전자부품(29.5%), 자동차(22.6%), 전기장비(10.5%) 비중이 높아졌다.

對베트남 투자는 과거 섬유제품(28.3%)과 전자부품(26.3%)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 전자부품(29.8%) 비중 확대와 더불어 의복(10.1%), 섬유(8.6%), 고무제품(7.4%), 전기장비(6%) 등으로 투자 업종이 변화되는 양상이다.

중국-베트남 외국인 투자환경 비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중국-베트남 외국인 투자환경 비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법인세 혜택·규제 완화 등 親외투유치 정책이 베트남 투자 매력

한경연은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투자 중심지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하는 것은 양국의 외국인투자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은 2008년부터 자국기업(33%)에 비해 유리했던 외자기업의 법인세율(15~24%)을 첨단산업 등을 제외하고 25%로 단일화했다.

또한 저부가가치·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가공무역 투자를 제한하면서 투자금지 및 제한 품목을 확대했다. 중국 정부의 소득분배 개선 조치로 인해 최저임금 등 노동비용이 지속 상승한 점도 투자환경 악화 요인이다.

반면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분야에 대해 4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이후 9년간 50% 감면)을 주고, 일반기업의 외국인 투자한도도 철폐했다. 외국인 투자 가능분야 제한과 부동산 취득요건을 완화하고, 임금도 중국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 對베트남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중국 내 외투기업 우대 축소와 노동비용 상승으로 對중국 투자가 줄어들고 이다. 각종 우대혜택을 늘리고 있는 베트남과 같은 신흥국으로의 과감한 투자가 늘고 있다. 글로벌 경기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 마련과 함께 규제 개혁을 통한 국내 투자 여건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30 08:35

99,850,000

▼ 1,219,000 (1.21%)

빗썸

03.30 08:35

99,753,000

▼ 1,157,000 (1.15%)

코빗

03.30 08:35

99,798,000

▼ 1,172,000 (1.1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