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 대산석유화학단지 |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국내 산업계가 긴장하는 가운데 화학업계도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큰 영향은 없지만 환율상승이 장기화되면 원가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214원을 넘어섰다. 전날인 6일은 장중 1220원에 육박해 약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처럼 환율이 상승한 것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렸고, 이를 이유로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미-중 무역분쟁, 일본 화이트리스트 제외도 환율 상승을 부추긴 요인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국내 수출업종에는 유리하다. 수출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환차익 효과까지도 반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화 될 경우 원자재 수입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되레 수익성 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
생산제품의 대부분을 해외 시장에 내놓는 국내 화학사들은 이번 환율 상승이 달갑다는 입장이다.
LG화학 석유화학 부문은 NCC(납사크래커), PO(폴리올레핀),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ABS(고기능 플라스틱)을 생산해 70%를 수출한다. LG화학과 1,2위를 다투는 롯데케미칼은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는다. 롯데케미칼은 NCC,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C(폴리카보네이트), PET를 만든다.
업계에 따르면 제품 수출에 따른 대금은 보통 3개월 후에 회수된다. 계약에 따라 이보다 앞당겨지는 경우도 있어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에 따른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화학사들은 저조했던 2분기 실적을 이번 환율 상승으로 일부 상쇄 가능하다는 기대도 하고 있다.
앞서 올해 2분기 LG화학과 롯데케미칼 등 화학사 빅2는 부진한 성적표를 내놨다. LG화학은 2분기 석유화학 부문 영업이익이 작년 2분기보다 42.3%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롯데케미칼도 50%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화학사들은 환율 상승이 장기화될 조짐이 보여 우려스럽다는 입장도 공존한다.
나프타를 사우디, 미국 등에서 들여오는 등 화학사들은 제품 생산의 원재료를 해외에서 수입하는데 결제 통화가 바로 달러이기 때문이다. 증권업계는 환율 강세가 장기화된다면 달러당 원화값이 1250원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사들은 많게는 수천억원까지도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원재료 구매시 유가 못지않게 영향을 많이 받는 요소가 환율이다.
국내 화학업계 관계자는 "2~3년 전에도 달러 강세로 화학사들이 고유가의 악영향을 상쇄한 적이 있다"며 "화학사들에게는 원화 약세인 지금이 다운스트림 업황에서 더 많은 달러를 벌어들일 수 있는 환경"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