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3,755,000 893,000(0.96%)
ETH 4,485,000 14,000(-0.31%)
XRP 735.2 0.3(0.04%)
BCH 700,100 6,000(-0.85%)
EOS 1,144 23(2.0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불붙은 대전 집값…서울 상승률 대비 10배 육박

  • 송고 2019.08.09 14:49 | 수정 2019.08.09 17:27
  • 김재환 기자 (jeje@ebn.co.kr)

올해 상반기 청약경쟁률 74대 1로 압도적 1위

비규제지역·부족한 공급물량 등 과열 원인

대전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뜨겁다. 지난 7월 초부터 시작된 상승장은 서울 집값 상승률의 10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서구와 유성구 집값 상승률은 현 정부 전체 기간으로 시계열을 넓게 보면 웬만한 서울 자치구보다 높다.

전문가들은 이례적인 과열 원인으로 전국적인 침체국면에 따라 부동산 투자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비규제지역 영향 및 최근 적었던 공급물량 등을 꼽았다.

문재인 정부(2017년 5월~2019년 7월) 이래 지역별 실질아파트값 상승률(아파트값 상승률-해당 시·도 물가상승률)ⓒ감정원·통계청 자료 갈무리

문재인 정부(2017년 5월~2019년 7월) 이래 지역별 실질아파트값 상승률(아파트값 상승률-해당 시·도 물가상승률)ⓒ감정원·통계청 자료 갈무리

9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대전시 서구의 지난 5일 기준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0.29%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평균치 0.03% 대비 10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대전시 유성구의 경우 0.51%로 전주 대비 0.07%p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자치구 중에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서초구(0.06%) 또는 강남구(0.05%)를 뛰어넘은 모습이다.

대전 두 지역의 상승세는 지난달 초부터 두드러졌다. 7월 8일부터 주차별 상승률을 보면 서구는 △0.09% △0.05% △0.18% △0.42% △0.38% △0.29%다. 유성구는 △0.06% △0.04% △0.14% △0.52% △0.44% △0.51%로 나타났다.

청약경쟁률도 올 상반기 대전 평균 75.5대 1을 기록해 2위 광주(47.6대 1)를 크게 따돌리며 전국 시군구 중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 역시 전국 평균치 13.8대 1과 서울 16.7대 1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을 포함한 전국적인 부동산 침체기에 대전이 이례적으로 과열된 원인으로 비규제지역과 공급 부족 영향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실제로 대전은 이번 정부 들어 10여차례 이어진 부동산 규제 속에서도 물가 상승률 대비 높은 수준의 집값 상승률을 유지했지만 아직 투기과열 또는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되지 않았다.

감정원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해보면 대전의 실질아파트값 상승률(아파트값 상승률-해당 시·도 물가상승률)은 서울과 비견될만한 수준이다.

지난 2017년 5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서구와 유성구 누적 실질아파트값 상승률은 각각 6.23%와 5.31%다. 물가가 1.3% 오를 때 집값이 7.53%와 6.61% 올랐다는 의미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평균치(6.5%)와 근접하고 노원구(3.85%)와 도봉구(3.55%), 은평구(4.77%)보다 높으면서 서초구(6.61%)와 강서구(6.11%), 서대문구(5.93%)와 유사한 정도다.

규제지역 중 가장 낮은 단계인 조정대상지역 선정 요건은 '3개월간 집값 상승률이 해당 시·도 물가 상승률의 1.3배 초과'와 '2개월간 청약경쟁률 5:1 초과' 등 추가 요건이다. 추가 요건은 3가지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된다.

공급물량 측면에서 국토교통부의 주택준공 실적통계를 보면 지난 2015년부터 대전은 매년 전국 시군구 중 최하에 머물렀다.

연도별 주택준공 실적은 △2015년 7441호 △2016년 8268호 △2017년 9363호 △2018년 9173호다. 같은 기간 광주(2015년 8584호)와 유독 많은 경기도(10만~20만호)를 제외하고 전 시군구는 최소 1만~3만호 규모를 유지했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준공 실적도 총 2159호에 불과해 수도권 외 지방 실적 13만2603호 중 극히 일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09:29

93,755,000

▲ 893,000 (0.96%)

빗썸

04.20 09:29

93,630,000

▲ 901,000 (0.97%)

코빗

04.20 09:29

93,836,000

▲ 1,032,000 (1.1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