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8
20.8℃
코스피 2,634.70 50.52(1.95%)
코스닥 855.65 22.62(2.72%)
USD$ 1374.0 -9.0
EUR€ 1467.0 -8.9
JPY¥ 889.6 -6.4
CNY¥ 189.6 -1.4
BTC 92,543,000 1,505,000(-1.6%)
ETH 4,496,000 74,000(-1.62%)
XRP 731.9 0.5(0.07%)
BCH 715,800 13,900(1.98%)
EOS 1,091 13(-1.18%)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한은 "집값 오를수록 가계 씀씀이 오히려 줄어"

  • 송고 2019.08.16 07:57 | 수정 2019.08.16 08:31
  • 박상효 기자 (s0565@ebn.co.kr)

외국과 달리 주택가격 상승하면 오히려 소비 감소...기존 연구 결과와 달라

주택가격이 상승해도 우리나라의 경우는 오히려 소비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보통 자산가격 상승이 소비 증대를 유발하는 게 일반적인 경제 현상이다.

김기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15일 발표한 '부(富)의 효과의 분위 추정'(BOK 경제연구) 논문에서 "주택가격지수로 본 실물자산이 소비에 음(-)의 부의 효과를 보여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연구위원은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주거이전 유인이 없거나 주택규모 확대를 원하는 주택소유자, 주택 미보유자 등은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없고, 주택가격 변동이 가계 구매력의 불확실성을 높일 가능성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 김 연구위원이 2003∼2018년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실증분석 방법을 사용해 각종 경제변수가 가계 최종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에서도 소득(가처분소득), 금융자산(주가지수)이 가계소비에 양의 부의 효과를 미친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기존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경제학자들은 금융자산이나 실물자산의 가격이 오를 경우 일반적으로 소비도 함께 증가(양의 부의 효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특히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주식 등 금융자산보다 더 큰 양의 부의 효과를 발휘한다는 게 미국 등 해외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결과다.

그러나 주택매매지수로 살펴본 실물자산의 경우 가계소비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집값이 오를수록 가계가 씀씀이를 오히려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의미다.

분석 결과, 한계소비성향은 소비 분위가 커질수록 상승했는데, 이는 경기가 좋을 수록 대부분 가계의 소득이 더 증가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또한 한계부채 증가는 모든 분위에서 소비를 확대하는 순효과(net effect)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를 기준으로 볼 때 가계대출 중 소비 제약 가능성이 있는 주택담보대출보다 소비 확대 가능성이 높은 생계형 대출이 더 큰 비중(58.2%)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증가 역시 소비를 확대하는 양의 부의 효과를 나타냈다"며 "그러나 이는 대출 용도를 구분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여서 가계대출의 용도별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수 국가의 금융시장 및 주택시장 에서 자산가치가 크게 변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가계소비가 음(-)의 부의 효과로 인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소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지난 2018년 3월말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1573만원이며 이 중 실물자산은 3억 1061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74.7%를 차지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4.70 50.52(1.9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8 20:38

92,543,000

▼ 1,505,000 (1.6%)

빗썸

04.18 20:38

92,390,000

▼ 1,389,000 (1.48%)

코빗

04.18 20:38

92,317,000

▼ 1,482,000 (1.5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