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6
10.8℃
코스피 2,628.62 47.13(-1.76%)
코스닥 853.26 8.97(-1.04%)
USD$ 1375.0 -3.0
EUR€ 1475.2 1.1
JPY¥ 884.0 -3.0
CNY¥ 189.4 -0.1
BTC 93,024,000 276,000(-0.3%)
ETH 4,554,000 2,000(0.04%)
XRP 763 10.7(-1.38%)
BCH 690,700 8,800(-1.26%)
EOS 1,222 18(1.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KRPIA "글로벌제약사, R&D 총투자 비용 16%↑"

  • 송고 2019.09.19 09:49 | 수정 2019.09.19 09:50
  • 권영석 기자 (yskwon@ebn.co.kr)

ⓒKRPIA

ⓒKRPIA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는 31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2018년 국내 R&D 투자 현황’ 결과,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곳 중 2018년 임상연구에 투자된 R&D 총비용(해외 본사에서 직접 외주한 R&D 비용 제외)은 약 4706억원으로 추산됐다고 19일 밝혔다.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28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그 증감을 살펴보면, 전체 R&D 투자가 2017년 4000억원에서 2018년 4641억원으로 전년대비 1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제약사의 임상연구용 의약품 직접비 역시 증가했다. 2018년에는 전년(2017년 1,290억원) 대비 19.3% 늘어난 1540억원이 임상시험용 의약품 직접비로 사용됐다.

임상연구를 위해 국내 환자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치료기회를 부여하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

또 이번 조사에 참여한 31개사의 2018년 R&D 인력은 총 1717명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 중 28개 회원사의 경우 1678명 고용으로 전년(2017년 1551명) 대비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고급 연구인력 고용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 31곳에서 총 1486건의 임상연구가 수행됐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본 조사에 참여한 28개 회윈사의 2018년 임상연구 건수는 1192건으로 전년(2017년 1196건)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초기(1상) 임상시험 건수가 2017년 대비 2018년에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1개 글로벌 제약사에서 응답한 2018년 전체 임상연구 중 암과 희귀질환 임상연구 비율은 각각 49%(583건), 5%(63건)로 전체 임상연구 중 암과 희귀질환 환자를 위한 임상연구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임상연구를 통해 암환자와 희귀질환 환자들의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조기 접근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암과 희귀질환 임상시험 건수가 전년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으로 최근 몇 년간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접근성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감안해 보면 해당 영역의 신약에 대한 제도적 및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글로벌 제약사들은 임상연구를 통한 R&D 투자 뿐만 아니라, 기초 연구지원(10건), 비 임상시험(3건), 국내 개발 물질 도입, 국내 제약사 및 연구소와 공동 개발, 국내 병원 및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 등(42건) 다양한 공동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34건)을 통해 국내 신약 개발 역량 함양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다.

KRPIA는 "전세계 제약사 주도의 임상시험 프로토콜 국가별 비율에서 한국은 2017년 5위(3.51%)에서 2018년 6위(3.39%)를 기록했다"며 "중국이 최근 의약품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 허가 제도개혁 등 규제개혁을 통해 5위(3.7%)에서 3위(4.66%)로 두 단계 상승했는데, 이는 우리나라도 임상시험의 경쟁우위를 지속하고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다국적 초기 임상시험 참여 기회 확대는 물론 글로벌 R&D 투자를 유치하여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유관 부처의 적극적인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28.62 47.13(-1.76)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6 04:05

93,024,000

▼ 276,000 (0.3%)

빗썸

04.26 04:05

92,997,000

▼ 15,000 (0.02%)

코빗

04.26 04:05

92,882,000

▼ 1,551,000 (1.64%)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