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4
15.3℃
코스피 2,675.75 52.73(2.01%)
코스닥 862.23 16.79(1.99%)
USD$ 1373.0 -3.0
EUR€ 1466.6 -5.8
JPY¥ 886.4 -2.3
CNY¥ 189.0 -0.6
BTC 95,800,000 10,000(0.01%)
ETH 4,676,000 96,000(2.1%)
XRP 787 5.9(-0.74%)
BCH 725,800 13,000(-1.76%)
EOS 1,238 23(1.8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재생에너지 이용 그린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 송고 2020.06.17 16:42 | 수정 2020.06.17 16:42
  • EBN 박상효 기자 (s0565@ebn.co.kr)

그린수소생산 앞당길 고효율 수전해 스택 핵심소재 및 구조 설계 기술 확보

재생에너지와 직접 연동 가능한 고효율 수전해 핵심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대량의 그린수소 생산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 김창희 박사 연구진은 태양광,풍력 등과같이 간헐성과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안정적이며 고효율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부하변동 대응형 수전해 스택’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는 기술로 고순도(99.999%)의 수소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고가의 전력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수소는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원소지만 자체로 존재하기 보다는 석유·석탄·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나 물 등 화학성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추출해야 한다.


화석연료에서 추출된 수소는 온실가스가 동시에 다량 배출되어 일명 '그레이(Grey)수소'라 불리는데,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물을 이용한‘그린(Green)수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8년 3대 전략투자 대상에 '수소경제'를 선정하고 수전해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수소 생산 원천기술 확보에 집중 투자·육성할 것을 발표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경우 불안정한 전력 부하로 인해 수전해 시스템 성능이 빠르게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상 조건 변화로 재생에너지가 수전해 시스템에 부하 대비0~20%정도로 적게 공급되면 수소와 산소가 섞인 혼합가스가 가연성 한계에 쉽게 도달하게 되어 폭발위험이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간헐성과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가 공급되더라도 내구성과 효율이 높은 전극과 분리막을 자체 개발했고,이 스택기술을 통하여 수전해 시스템을 모듈화 하는데 성공했다.


수전해 분리막은 미세구멍의 정밀제어 및 친수성을 향상시켜 상용제품(Zirfon UTP500, Agfa사)대비가스혼합을 3배 이상 억제하면서도 3배 이상 높은 이온전도성을 갖는 고안정성·고이온전도성 분리막 합성기술을 확보했다.


수전해 전극은 부하변동운전에 대한내구성 확보를 위해 전이금속 촉매보다 반응성이 큰 망간 또는 크롬을첨가하여 촉매수명을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통해 수소생산 효율을 82%이상까지 끌어올렸으며,부하변동시발생할 수 있는가스혼입 및 전극 효율 문제를 해결해 보다 넓은 출력범위(5~110%)의 연계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특히 부하변동 대응형 수전해 스택기술은 순수 국내 기술로 수소경제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생산의 길을 앞당겼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또한,향후 2022년에 예정된 새만금 등 대단위 재생에너지 단지에서 국내 수전해 기술로 대량의그린수소 생산을 통해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수소산업 관련 전·후방산업 육성 및 확대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책임자인 김창희 책임연구원은 “부하변동 대응형 수전해 기술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가진정한 수소경제로 정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해외 선도국의 수전해 기술과 경쟁하기 위해 고성능·고내구 전극과 분리막 등 핵심부품소재 요소기술과 MW급 스택 스케일 업 설계 기술 모두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약 5년 간 진행되고 있다.


지난 5월 25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전 본원에서 ‘부하변동 대응수전해 스택 설계 기술’로 국내 수요기업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75.75 52.73(2.0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4 18:09

95,800,000

▲ 10,000 (0.01%)

빗썸

04.24 18:09

95,623,000

▼ 13,000 (0.01%)

코빗

04.24 18:09

95,541,000

▼ 117,000 (0.1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