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3.1℃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8.5 -1.5
EUR€ 1470.5 1.4
JPY¥ 892.0 -0.5
CNY¥ 190.2 -0.2
BTC 93,063,000 817,000(-0.87%)
ETH 4,464,000 66,000(-1.46%)
XRP 729.9 10(-1.35%)
BCH 692,100 22,100(-3.09%)
EOS 1,133 19(1.7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현대중공업 '안전 강화' 공염불…또 사망사고

  • 송고 2016.07.20 12:45 | 수정 2016.07.21 15:32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울산조선소만 7년간 사망사고 총 26건 발생

노조 “근본해결책 없는 안전대책 남발” 비판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이 거듭된 안전다짐 및 관리체계 강화에도 또 다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정부 및 사측이 주도하는 일방적 구조조정으로 대대적인 파업을 벌이고 있는 노동조합의 반발이 이번 사고로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매년 안전강화 구호 ‘공염불’

지난 19일 추락사고로 해양생산지원부 신모씨(39)가 사망했다. 올해 들어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만 6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7년간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만 26건에 달한다. 2009년 2명, 2010년 1명, 2011년 2명, 2012년 2명, 2013년 3명, 2014년 8명, 2015년 2명이 숨졌다.

문제는 현대중공업은 매년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유족 및 국민들에게 사과를 되풀이하고 안전관리대책을 손보면서도 전혀 개선되는 것이 없다는 점이다.

올해 초에도 종합안전대책을 수립한 후 이달부터 7가지 절대 안전 수칙을 만들어 실시 중이었다. 절대수칙 위반 시에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관용 없이 강력한 제재 조치가 취해지도록 했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에만 3명의 근로자가 사망하자 전사적으로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전사 안전 대토론회’에 나선 바 있다. 현대중공업이 사망사고로 인해 자체적으로 작업을 중단한 것은 1972년 창사 이래 최초였다.

심지어는 안전의식 재무장을 목적으로 현대중공업그룹 임원들이 해병대에서 극기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8명이 사망한 2014년에는 대국민 사과까지 실시하고 전사 안전 대토론회와 비슷한 성격의 전사 안전결의대회를 열었다.

당시 현대중공업은 안전경영부를 비롯한 회사 내 안전환경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확대 개편했으며, 총괄 책임자도 전무급에서 부사장급으로 격상했다. 안전전담요원도 200명 수준으로 늘리는 등 종합대책에 3000억원이라는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19일 사고로 이 모든 노력은 ‘공염불’이 된 상황이다.

◆노조 “사측 안전관리 근본인식부터 문제”

현재 현대중공업은 이렇다 할 방침을 내놓지 않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현재는 상세한 사고 원인 및 경위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노조의 반응이다.

사망한 신씨는 사측 구조조정 방침으로 자회사로 분사될 해양생산지원부(설비보전) 소속이었다. 노조가 분사 및 인력 감축 확대에 대한 반발로 파업을 벌이고 있는 만큼 더 큰 단체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수년간 사측이 마련해온 안전대책도 회의적인 태도로 일관해 온 노조다. 노조 한 관계자는 “안전수칙과 징계방침을 수백개 만들들 근무환경 개선 및 안전 분야 전문가 중심의 인사 등 근본적인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데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안전경영실을 신설하면서 실장으로 안전경영지원본부 소속이었던 김환구 부사장을 사장으로 격상시켰다.

노조 측은 지난해부터 인사·노무 등 현장감이 떨어지는 업무를 담당해온 김 사장을 안전부문장으로 임명하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문제제기를 해왔다.

노조 관계자는 “실제로 김 사장이 지난해 말 안전부문장으로 임명된 후 여러 건의 안전관리 대책을 내놨지만 1년도 되지 않아 결국 6건의 산재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느냐”고 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안전체계의 인식 제고와 근본적인 수술이 필요하다”며 “모든 작업은 2인 또는 3인 체계로 개편하고 안전부문장은 안전 관련 전문가로 재선임해 대표이사 직속으로 직접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7년간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 다섯 차례 이상 특별근로감독 등을 실시해온 고용노동부 또한 감사부실 책임론이 불거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하창민 현대중공업 사내하청 지회장은 지난 4월 기자회견에서 “현대중공업에서 발생한 연쇄 중대재해는 고용노동부의 원청사업주 처벌회피 등 솜방망이 처벌과 사업장 지도 방기에 따른 예고된 사고”라며 “고용노동부 장관이 책임을 통감하고 퇴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01:26

93,063,000

▼ 817,000 (0.87%)

빗썸

04.20 01:26

93,027,000

▼ 718,000 (0.77%)

코빗

04.20 01:26

93,078,000

▼ 659,000 (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