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12.1℃
코스피 2,746.63 0.81(0.03%)
코스닥 905.50 4.55(-0.5%)
USD$ 1348.0 -3.0
EUR€ 1452.5 -5.0
JPY¥ 890.3 -2.2
CNY¥ 185.8 -0.3
BTC 100,075,000 112,000(-0.11%)
ETH 5,036,000 48,000(-0.94%)
XRP 874.4 11.5(-1.3%)
BCH 821,000 20,000(2.5%)
EOS 1,567 52(3.4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기자수첩] “정부 발주선박도 1% 안됩니다”

  • 송고 2017.02.14 10:14 | 수정 2017.02.14 13:28
  • 신주식 기자 (winean@ebn.co.kr)

ⓒEBN

ⓒEBN

“금융권에서 척당 1% 이상의 수익성이 보장돼야 한다는 기준을 고수하고 있는데 사실 현재와 같은 시장상황에서 마이너스가 아닌 것만 해도 조선소 운영 잘하는 것 아닌가요? 이 기준으로는 정부가 발주하는 관공선도 수주 못해요.”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금융권의 선수금환급보증(RG, Refund Guarantee) 발급 기준에 대해 이렇게 답답함을 토로했다.

금융권에서는 선박 수주계약에 필수적인 선수금환급보증 발급 조건으로 척당 1% 이상의 수익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수주절벽’으로 불린 극심한 경기침체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선소들이 일감확보를 위해서는 수익성을 일부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선박을 건조하는 도크에 더 이상 건조할 선박이 없는 상황이 되면 매출은 줄어드는데 직원들 급여를 비롯한 고정비는 지속적으로 나가야 한다. 조선업과 해운업이 글로벌 경기와 밀접한 산업이다보니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고 수출 및 수입이 늘어나기 시작해야 이를 실어나를 배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게 된다. 그때까지는 어떻게든 버텨야만 한다.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해 일감이 없어 무급순환휴직을 실시하는 조선소도 늘어나고 있다. 손실을 보는 계약만 아니라면 수주해서 도크를 돌려야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앞으로 다가올 기회를 준비할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후판을 비롯해 선박 건조에 필요한 철강재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수주한 선박의 가격이 지난해와 동일하더라도 수익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 조선업계의 최근 수주행태를 보면 곧 자멸하려는 것만 같다. 현지 선박중개업자들은 철강재 가격 상승으로 케이프사이즈 벌크선 건조원가가 최소 4000만달러는 넘어설 것이라고 지적하는데 중국 조선업계는 케이프사이즈 벌크선보다 더 큰 뉴캐슬막스급 벌크선을 4000만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수주했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다.

중국 조선업계가 자멸하고 난 이후 글로벌 선사들은 한국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는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이유다. 한국 조선업계에서는 올해까지만 어떻게든 살아남으면 후일을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에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것이 강한 자”라는 말로 서로를 독려하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중국처럼 저가수주가 아닌, 손실이 나지 않는 선박의 수주가 단 몇척이라도 이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시장상황에서는 현대중공업이라 해도 척당 1% 이상의 수익성을 내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하지만 금융권이 요지부동이다. 외국 선사는 물론 국내 선사들로부터 수주하더라도 1% 이상이라는 기준을 맞추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현실에서 금융권의 고집은 조선업계에 선박을 수주하지 말라는 소리 외에 다른 의미로 들리지 않는다.

“정부가 발주하는 관공선이요? 그 선박들도 척당 1% 이상의 수익이 나지 않아요. 정부가 가격을 후하게 쳐주는 것도 아니고 조달청에서 전자입찰을 통해 수주하는 선박들인데 단 한척이라도 아쉬운 조선소들이 써내는 가격이 어떻겠어요?”

극심한 경기침체 속에 중소조선소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조달청 사이트에 접속하고 현대중공업을 비롯한 글로벌 조선빅3는 중견 조선소들이 수주하던 원유운반선과 대형 벌크선 수주에 나서고 있다.

올해까지만 어떻게든 버티고 살아남으면 그 이후부터는 뭔가 희망이 보일 것이라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기대일 것이다. 한국 조선업계가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은 자”가 되기 위해 한국 금융권에서는 어떤 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지 고민해주길 바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6.63 0.81(0.0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6:56

100,075,000

▼ 112,000 (0.11%)

빗썸

03.29 16:56

99,848,000

▼ 390,000 (0.39%)

코빗

03.29 16:56

100,000,000

▼ 161,000 (0.1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