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20
15.8℃
코스피 2,591.86 42.84(-1.63%)
코스닥 841.91 13.74(-1.61%)
USD$ 1379.0 -1.0
EUR€ 1470.8 1.8
JPY¥ 892.5 -0.1
CNY¥ 190.3 -0.1
BTC 94,033,000 3,054,000(3.36%)
ETH 4,492,000 100,000(2.28%)
XRP 751.2 38(5.33%)
BCH 702,500 22,800(3.35%)
EOS 1,155 64(5.8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삼성전자, '뇌 과학·저전력 메모리·인공근육' 연구 지원

  • 송고 2017.04.06 10:00 | 수정 2017.04.06 09:17
  • 최다현 기자 (chdh0729@ebn.co.kr)

기초과학·소재·ICT 분야서 40개 과제 연구비 지원

9월 28일 최종 선정…지정테마 '반도체·스마트 머신'

삼성전자가 6일 연구비를 출연해 지원하는 미래기술육성사업 2017년 상반기 지원과제 40개를 선정했다.

지원과제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에서 지원하는 기초과학 분야 18개,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에서 운영하는 소재기술과 ICT 분야에서 22개가 지원을 받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에 시작해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의 3개 연구분야에 10년 간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뇌과학·첨단소재·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 연구 지원

(왼쪽부터)정원석 KAIST 교수, 김선주 연세대 교수, 양희준 성균관대 교수.ⓒ삼성전자

(왼쪽부터)정원석 KAIST 교수, 김선주 연세대 교수, 양희준 성균관대 교수.ⓒ삼성전자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KAIST 정원석 교수의 '수면 상태와 노화의 과정에서 뇌 건강 유지를 조절하는 메커니즘 연구' 등 18개 과제가 선정됐다.

정원석 교수는 신경 교세포가 뇌의 신경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세포로 뇌 신경 네트워크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뇌 건강 유지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최근 밝혀냈다. 이를 연구해 뇌 항상성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뇌의 노화 억제와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새로운 기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성균관대 양희준 교수의 '차세대 저전력 메모리 소자 연구'등 7건이 꼽혔다. 양희준 교수는 전기적 게이팅에 의해 반도체와 도체로 가역적으로 상전이가 가능한 2차원 신소재를 개발해 2단자 소자뿐만 아니라 뉴로모픽 회로까지 구현하고자 한다. 소재 개발에 성공할 경우 R램, P램 대비 저전력 구동이 가능할 차세대 반도체 후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CT분야는 연세대 김선주 교수가 주도하는 '질의 기반 비디오 하이라이트 제작을 위한 시각 및 언어 지능융합 기술 개발'을 비롯해 15건이 지원받는다.

김선주 교수의 연구는 시각정보와 언어정보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진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해 장시간의 비디오로부터 사용자 질의에 대한 비디오 하이라이트를 보여주는 기술이다. 연구를 통해 공공안전과 방범, 스포츠 중계 하이라이트 등 다양한 응용분야로 확장할 수 있어 인공지능 기술 수준을 한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3가지 연구분야에 대해 자유공모 과제를 연중 홈페이지에 접수받고 있으며 국내외 석학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면 및 발표 심사를 통해 1년에 2차례 지원 과제를 선정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지원 과제는 7월 25일 서면 심사 결과를 발표하고 9월 28일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자유공모 외에도 매년 국가적으로 필요한 미래기술분야를 지정해 해당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는 지정테마 과제공모도 운영 중이다. 올해 지정테마는 △차세대 반도체 재료와 소자 △스마트 머신을 위한 인텔리전스가 선정됐다. 지정테마 과제 제안서는 오는 25일부터 5월 6일까지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결과는 7월 11일에 발표한다.

한편 삼성전자가 올해 상반기 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기초과학 분야
△비선형 분산 방정식의 스케터링 조건(KAIST 권순식)
△게이트 제어 가능한 위상 초전류 큐빗 연구(GIST 도용주)
△3차원 쌍곡다양체의 대역적 불변량들의 관계식에 대한 연구(고등과학원 박진성)
△세균 유비퀴틴-코팅 기전 연구(고려대 송현규)
△곤충 혈액의 기체 운반 기능에 대한 새로운 고찰(한양대 심지원)
△소멸파-유도 전기촉매 현미경(부산대 양해식)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에서 기하학적 방법론과 응용들(서울대 이기암)
△파이-쌓기 분자의 먼거리 입체-전자 상호작용(서울대 이동환)
△tRNA 유래 small RNA의 장수 유도 기전 연구(포스텍 이승재)
△유리-고렌슈타이 변형 연구 및 응용(KAIST 이용남)
△DNA 이중나선을 매개로 한 전사인자 상호간의 비접촉 기능 조절 메커니즘 연구(경상대 이준화)
△주화성과 개체간 경쟁을 고려한 박테리아 운동의 편미분 방정식 연구 제시(중앙대 이지훈)
△온도센서에 의한 T 세포반응 선택성 조절(서울대 정연석)
△수면과 노화에서 뇌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연구(KAIST 정원석)
△다치환 유기 붕소 화합물의 개발 및 응용(포스텍 조승환)
△빛에너지 변환 과정의 이해를 위한 양자역학적 비단열 동력학의 개발과 응용(경북대 최철호)
△이합체 천연물을 통한 새로운 반응성에 대한 연구(KAIST 한순규)
△텐서 그물망 이론의 시공간적 접근(성균관대 한정훈) 등이다.

◆소재 분야
△Wearable Power용 체온발전 특화 고효율 열전전지 개발(서울시립대 김상일)
△가역적 미세환경 감응형 제2근적외선 양자점 프로브 개발(포스텍 김성지)
△개인화된 다중표적 항암 면역세포 개발(KAIST 김찬혁)
△DNA시계와 DNA블랙박스의 개발(연세대 김형범)
△3진법/4진법을 이해할 수 있는 이종접합 구조체 기반반도체 소자 및 회로 개발(성균관대 박진홍)
△전자 구조 상전이 소재 기반 뉴리스터 집적 회로(성균관대 양희준)
△가역적구조 전이현상을 가지는 신개념 층상구조 전극소재개발(성균관대 윤원섭)

◆ICT 분야
△IoT 기반 분산/이동형 초고감도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자가구성 인공청각 시스템(서울대 김남수)
△말초신경질환 치료를 위한 원격 전자약 장치 개발(DGIST 김민석)
△생체내 세포 단위 이미징을 통한 망막 및 시신경 질환의 조기 진단 기술 개발(서울대 김석환)
△광터널링 효과를 이용한 초박막 마이크론 에어캡 복사냉각 필름 개발(경희대 김선경)
△질의 기반 비디오 하이라이트 제작을 위한 시각 및 언어 지능 융합 기술 개발(연세대 김선주)
△AutoBox: 스마트 자동차용 실시간 대용량 플래시 저장장치 시스템(서울대 김지홍)
△멤리스터 Convolutional 신경 회로망(국민대 민경식)
△다층 구조의 박막 솔레노이드 디스크를 이용한 부드러운 인공근육 개발(서울대 박용래)
△SecureBox: 클라우드 및 머신러닝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정보 보호를 위한 TEE 기반 보안시스템 개발(KAIST 신인식)
△데이터 기반 선별적 프로그램 분석 기술(고려대 오학주)
△엑소좀 바이오 마커의 실시간 관찰을 위한 그래핀 아쿠아리움 전자현미경(KAIST 육종민)
△상이 공간 내 텔레프레즌스 아바타를 위한 동작 적응화기법 연구(KAIST 이성희)
△인공손가락을 이용한 질감 감성의 정량화(한양대 이승백)
△Self-Sustainable IoT 기기들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연세대 이장원)
△활동성 기반 아날로그 신호처리 기술(연세대 채영철)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1.86 42.84(-1.6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0 14:41

94,033,000

▲ 3,054,000 (3.36%)

빗썸

04.20 14:41

93,861,000

▲ 3,080,000 (3.39%)

코빗

04.20 14:41

93,926,000

▲ 3,401,000 (3.7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