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산학연, 누리호 반복 발사 필요성 '한목소리'

신주식 기자
  • 입력 2025.06.20 16:4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리호 발사 장면 [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누리호 발사 장면 [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내 우주 전문가들이 누리호의 지속적인 활용과 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반복 발사'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공 수요 기반의 발사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20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과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한 '민간발사체 산업활성화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누리호 기술의 지속적 활용과 산업적 확산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정혜경 우주항공청 산업정책과장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약 1600억원을 투입하는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소개하며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발사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최소한 공공위성부터 국산 발사체로 발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사업은 누리호의 페어링(탑재체 덮개)을 확장하고 국방 안보위성 2기를 경사궤도에 투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현재 대부분의 국방 및 공공위성은 해외 발사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안 문제와 발사 일정 통제 등의 한계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전문가들은 국내 발사체를 통해 안보 공백 최소화와 독립적 우주전력 운용 기반 확보가 가능하다는데 목소리를 같이 했다.

진승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가 기간 발사체를 장롱면허처럼 보관해선 안 된다"며 발사 수요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누리호 발사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민간 산업체의 인력, 시설, 장비 등을 유지하고 자생적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무는 "일부 기업들은 누리호 납품 이후 추가 일감이 없어 생산을 중단한 상황"이라며 산업 생태계 붕괴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 전무는 "정부가 다년간 반복 발사를 전제로 한 '블록 바이(Block-Buy)' 계약을 추진할 경우 산업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 모두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도 "발사 성공 이력은 민간 기업 사업화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정부의 조속한 공공 발사 서비스 발주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인용해 우리나라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했다. 일본은 2002년 H-IIA 로켓의 상업화를 결정하고 정부 수요를 기반으로 개량 모델을 확보해 2009년 글로벌 시장 진출에 성공했다.

미국은 'LSP(Launch Services Program)'를 통해 민간 기업의 공공위성 발사를 지원하는 구조를 운영 중이다.

김호식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교수는 한국의 민·군 중복 개발, 정보 단절, 책임 회피 문제를 지적하며 "미국처럼 Civil(공공), Defense(국방), Commercial(상업) 세 부문으로 나눠 체계화된 정책·로드맵·자금 흐름 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도 업계의 요구에 공감하며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민간 발사 서비스를 구매하는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다. 올해 하반기 공청회를 시작으로 2029년부터는 공개경쟁 입찰을 통해 정식 도입될 계획이다.

최형두 의원은 "기술 확보를 넘어 민간 주도의 산업 생태계를 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정아 의원도 "예산 확대,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 글로벌 협력 등을 통해 우주산업 도약을 위한 환경을 적극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