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303_700961_5555.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한국연구재단에서 '핵융합 첨단 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부지 유치 공모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설명회에서는 관심 있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 개요와 참여 절차를 안내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내실 있는 계획서 작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했다.
사업 공고 및 세부 일정, 평가 기준 등 관련 정보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공모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가속화와 글로벌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사전 절차로 오는 11월 13일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핵융합에너지는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주목받으며 미국·영국·중국 등 주요국이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우리 정부도 상용화 기술 및 시장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핵융합 기술 개발과 실증 기반 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으로 기획 중이다.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기술 실증을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번 부지 유치 공모는 예타 추진의 전제조건으로 연구 인프라를 집적화할 1개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부지 선정 이후 예비타당성조사는 오는 12월 제출을 목표로 진행되며 결과에 따라 사업 규모와 기간, 추진 여부가 최종 확정된다. 본격적인 사업은 2027년부터 착수될 전망이다.
부지 선정은 사업설명회, 실무 현장조사, 부지 유치계획 평가·발표 등의 절차를 거쳐 진행된다.
연구재단은 부지의 적합성과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독립적 선정평가위원회를 운영한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의 핵심은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기술 확보와 개발된 기술의 실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가 핵융합에너지 실현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