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경제 활성화 위한 연구 착수…맞춤형 지원책 마련 기대
![[출처=국토교통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639_682769_725.jpg)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12·29 여객기 참사 피해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오는 24일 개최하고, 피해 지역인 광주와 전남의 경제 회복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30일 시행 예정인 '12·29 여객기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9조에 따른 후속 조치다. 해당 법률은 피해 지역의 문화, 관광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특별 지원 방안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다.
참사 직후 무안공항 활주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공항 내 상업시설, 항공기 취급업체, 지역 관광업계 등에서 직·간접적인 매출 감소와 경영난이 발생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는 체계적인 피해 분석과 맞춤형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국토교통부 12·29 여객기사고 피해자 지원단(이하 '지원단')은 관계 부처(문체부, 중기부 등 6개 부처), 광주·전남 지자체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피해 분석과 실질적인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재난지원 및 지역개발 분야 전문성을 갖춘 한국지역개발학회 연구진은 총 6개월간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진은 피해 지역(광주·전남)의 기초 경제 현황과 참사로 인해 발생한 직·간접적 피해를 업종·분야별로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또 지자체 공무원, 지역 소상공인 및 관광업계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간담회와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지역 연구기관, 상공회의소, 대학 등 민간 전문가 자문을 병행하여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지원단은 수렴된 현장 의견과 피해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피해 업종별 실질 효과가 기대되는 맞춤형 경제 활성화 방안과 세부 사업 계획을 관계 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마련할 방침이다.
박정수 지원단장은 "항공사고는 단순한 항공 운송 차질을 넘어 지역 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라며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특별 지원 방안을 차질 없이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