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정책 변경…우정사업본부, EMS 프리미엄 등 대체 서비스 안내
고객 부담 완화 위해 UPS와 협의…저가형 EMS 프리미엄 출시 준비도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갈무리.[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5509_691974_317.jpg)
우정사업본부가 미국행 우편물 접수 중단과 관련해 주요 질문에 대한 설명 자료를 22일 내놓았다.
미국행 우편물 접수 중단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변경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로, 우정사업본부는 우선 EMS 프리미엄 서비스를 대안으로 안내했다.
이날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기존에는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 대해 관세가 면제됐으나, 앞으로는 서신·서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우편물에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변경된 정책은 미국 세관 당국이 인정하는 기관이 먼저 관세를 신고하고 납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국제우편 시스템으로는 이 절차를 처리하기 어려워 접수가 잠정 중단되었다고 우정사업본부는 설명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은 모든 국가의 우편 서비스에 적용된다. 중국과 홍콩은 이미 지난 4월 27일 미국 관세 정책 변경에 따라 국제우편 발송을 중단한 바 있으며, 태국(8월 22일), 싱가포르(8월 25일) 등 다른 국가들도 유사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프랑스, 스위스, 덴마크, 벨기에 등도 예외는 아니다.
접수가 중단되는 우편물은 선편소포(8월 20일), 소형포장물·K-Packet·항공소포(8월 25일), EMS(8월 26일)부터다. 다만 '서류'나 '편지' 및 'EMS 프리미엄'은 기존과 같이 정상적으로 접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정사업본부는 미국으로 소포를 보내기 위한 대체 서비스로 'EMS 프리미엄'을 안내했다. 이 서비스는 민간 특송사(UPS)와 제휴해 제공되며, 기존과 같이 물품을 미국으로 보낼 수 있다.
EMS는 전 세계 우체국의 국제우편망을 통해 배송하는 서비스인 반면, EMS 프리미엄은 UPS와 제휴한 서비스다. EMS 프리미엄은 우체국 접수 후 UPS가 상업 통관 및 배달을 담당한다. 세관 신고와 관세는 발송인 또는 수취인이 부담한다.
EMS는 전 세계 우편망을 활용해 우체국 접수, 우편 통관, USPS 배달 순으로 진행되며, 세관 신고는 없고 관세는 수취인이 부담한다.
우정사업본부는 미국의 세부 지침과 국제우편망 대응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문제 해결 후 국제우편 서비스 재개 시점을 별도로 공지할 예정이다. 1~2개월 내에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미 행정명령에서 규정한 내용(관세 신고·납부)을 수용해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도록 관세 대납 업체와 솔루션 연계를 병행 추진 중이다. 고객 부담 완화를 위해 UPS와 협의해 현 EMS 프리미엄보다 저렴한 저가형 EMS 프리미엄 신상품 출시도 준비 중이다.
미국은 원산지에 따라 상품 가액에 관세를 부과한다. 한국 제품의 경우 대부분 1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일부 품목에서는 관세율이 달라질 수 있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 타국 제품이 포함된 경우, 해당 국가의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