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 문제로 미-인도 무역 갈등 심화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08.28 11:44
  • 수정 2025.08.28 13: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럼프 정부, 인도산 제품에 보복 관세 50% 부과

연합뉴스TV 화면 갈무리.[출처=ebn]
연합뉴스TV 화면 갈무리.[출처=ebn]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부과한 보복성 50% 관세가 27일(현지시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외신에 따르면, 해당 관세는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이날 오전 0시 1분부터 인도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일괄 적용된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지난 25일 공고문을 통해 "27일 오전 0시 1분 이후 소비 목적으로 수입되거나 보세 창고에서 출고되는 인도산 제품에 50%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과 상호 교역 프로그램 대상 품목은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국가별 관세(상호관세) 26%를 부과한 이후 양국은 총 5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으나,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 인하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 문제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기존 상호관세 25%에 추가적으로 25%의 보복 관세를 더해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알려진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늘려 우크라이나 전쟁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의 가격 경쟁력을 이유로 제시하며, 구매 중단 압박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50% 관세가 미국이 아시아 교역국에 부과한 관세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국인 인도가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의 무역에서 침체기를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베트남 등 경쟁국과 비교했을 때 인도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일각에서는 인도 경제가 수출보다는 내수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인도의 대미 수출액은 874억 달러(약 121조 9000억원)로 미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으나, 이는 인도 전체 GDP의 2%에 불과한 수준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