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공공 AI 인재 양성 본격화
윤호중 "유능한 AI 민주 정부를 만들겠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9881_697066_2734.jpg)
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발맞춰 공공 분야 AI 인재 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급증하는 AI 전문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 공직 내부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24일 행전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외부 채용만으로는 AI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 재직자 대상 AI 활용 능력 강화와 공직 내부 전문가 양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전체 공공기관 인원의 2%에 해당하는 2만 명을 'AI 챔피언'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AI 챔피언'은 공공 행정 현장에서 AI를 활용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가를 의미한다.
행정안전부는 전 직원의 AI 리터러시(이해 및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해 모든 공공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AI 교육 커리큘럼을 마련했다. 이 교육은 단순 이론 전달을 넘어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서 작성, 최신 AI 도구 활용법, 행정 서비스 개선 아이디어 구체화 등 실습 위주의 실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
지난 8월에는 7종의 이러닝 강좌와 12종의 교재 등 교육 콘텐츠를 개방해 각 기관이 중복 개발 없이 직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AI 리터러시 교육 결과를 데이터 기반 행정 실태 평가 및 정부 혁신 평가에 반영하여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방침이다.
공직 내부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연차별 목표를 수립하고 세 가지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첫째, 교육과 인증을 연계한 'AI 챔피언' 종합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 과정은 실습 중심 평가를 통해 인증을 부여하며, 지난 9월 개설된 과정은 3.5배 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직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둘째, 국세, 노동, 조달 등 전문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업무 분야별 특화형 AI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행정안전부의 종합 교육과정을 기본 틀로 하되, 각 기관의 고유 업무에 맞는 전문 콘텐츠를 개발해 2026년 상반기 시범 운영을 거쳐 전체 부처로 단계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셋째, 민간 AI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형 실습 교육을 정례화한다. 지난 4월 네이버와 함께 진행한 'LLM(거대 언어 모델) 활용 AI 모델 개발 미니 프로젝트' 시범 운영에 이어, 11월부터는 민관 협력 프로젝트형 교육을 주기적으로 개설하여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
정부는 이러한 정책들을 통해 공공 부문 전반에 AI 활용 기반을 체계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AI 민주 정부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공직 내부 전문가가 필수적"이라며 "2030년까지 2만 명의 AI 전문가를 양성하고 모든 직원이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유능한 AI 민주 정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