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8545_683822_5915.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 종료를 앞두고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겠다"며 본격적인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편지를 보낼 것이고 무역 협상의 끝"이라며 "200개국 모두와 무역협상을 할 수는 없다" 말했다. 이번 발언은 지난 4월 9일부터 90일간 유예한 상호관세 조치를 종료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일본에 대해서는 "미국은 일본산 차량 수백만대를 수입하지만 일본은 미국산 자동차를 거의 들여오지 않는다" "일본에도 편지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석유가 있고, 그들이 석유와 다른 것들을 수입할 수 있다"고 언급해 무역 균형 개선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방식에 대해 "미국에서 팔 수 있게 해주겠지만 25%, 35%, 50% 혹은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의 자체 판단에 따라 일방적으로 차등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예고했다.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선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25%의 품목별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도 언급했다.
미국 내 사업권 매각 문제와 관련해서도 "매우 부유한 인수자 그룹이 있다"며 중국 정부와 시진핑 주석의 승인 필요성을 언급했다. 인수자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으나 "2주 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시 제정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관련 보조금 지급에 대해선 "사기 같지만 중단하면 이미 시작된 프로젝트들이 중간에 멈춘다"며 현실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불법 이민자 단속에 대해서는 "미국 농부나 호텔 업주가 일할 사람을 잃게 되면 피해가 크다"며 정부 단속을 제어할 수 있는 임시 허가증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