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수급 최적화 및 지역 수용성 확보 목표…정부·공공·민간 협력체제 가동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수급상황을 주시하고 있다.[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3975_690164_4839.jpg)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는 분산 전력망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고 AI 기술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 회의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확정하고, 정부·공공기관·민간 전문가 간 협력체제를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전기가 생존 조건인 시대"라며, "더 저렴하고 깨끗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력망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을 구축하고 연결·통합하는 전략을 통해 전력망을 새롭게 설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력시장에서 통합발전소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에너지산업 육성, 창업인재 양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차세대 전력망은 AI 기술을 통해 전력 수급을 최적화하고, 전력 수요지에 인접한 마이크로그리드 공급체계를 구축해 지역 내 에너지 생산·소비를 실현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이는 계통 안정화와 송전선로 건설 부담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규모 시설 입지에 따른 지역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형 전력공급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정부는 산업단지, 대학 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에 차세대 전력망을 적용하여 전력 사용 효율화와 전력 안보를 도모할 계획이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말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의와 협력을 통해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