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를 활용한 치안분야 기획과제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4453_690747_5950.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13일 방위사업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반도체 기반 미래치안기술 전략 세미나'를 개최하고, AI 반도체 기술의 치안 분야 적용 및 향후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AI 반도체 기술 동향과 활용사례가 공유됐으며 패널토론에서는 워킹그룹이 발굴한 7대 과제와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대표 과제로는 ▲영상 보안과 통신 기능이 탑재된 AI 바디캠·스마트 글래스를 기반으로 한 '증거보안관(Evidence Guardian)' 시스템 ▲임피던스 분광 기술과 광학 스펙트럼 분석을 결합한 AI 신속 마약검출 키트 등이 소개됐다.
해당 키트는 국산 AI 반도체 모듈을 활용해 현장에서 마약류 존재 여부를 실시간으로 신속·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경찰청은 지난 5월 '치안 AI 반도체 워킹그룹'을 출범시키고 90일간 7차례 회의를 통해 현장 수요 기반 7개 과제를 도출했다.
이 과제들은 AI 반도체의 고속 연산, 저전력 처리, 실시간 분석 기능을 활용해 치안 현장의 대응 역량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치안 분야에서 국산 AX 디바이스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찰력 강화와 치안 AX의 확대가 중요하다"며 "경찰청과 협력해 국산 AI 반도체의 치안 분야 확산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