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의원, "수소경제 핵심 전략 무색…현실 인정하고 보급 전략 재검토해야"
![[출처=박정 의원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4104_701876_2253.jpg)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은 최근 열린 종합감사에서 정부의 수소경제 및 무공해차 전환 정책 추진 현황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했다.
29일 박정 의원실에 따르면 박 의원은 정부가 수소경제와 무공해차 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소차 보급은 정체 상태에 빠졌으며 정부 스스로도 수소차 구매에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경찰청의 수소버스 사업이 언급되었다. 경찰청은 10년간 802대의 경찰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하겠다는 계획 아래 현대자동차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나, 2025년 현재까지 구매된 차량은 16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올해 신규 구매 예산이 전액 삭제되어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상태라고 밝히며, 정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공공부문에서조차 수소버스 도입을 포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수소차 확산이 어려운 구조적인 이유도 제시되었다. 2025년 현재 전국 전기차 충전기가 약 59만 개소에 달하는 것에 비해 수소충전소는 250개소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수소버스 한 대 가격이 약 7억 원으로 일반버스의 2~3배에 달하며, 연료비마저 전기버스보다 비싸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청정수소 공급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고 연료 단가 또한 불안정한 상태라는 점도 수소차 보급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박 의원은 김성환 장관에게 수소차 보급 정체를 일시적인 조정기로 보는지 질문하며, 단기간 내 확산이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고 보급 전략 수정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