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로봇·자동차 산업 육성 박차 "향후 5년이 골든타임"

신주식 기자
  • 입력 2025.09.12 16: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담회 열고 업계 목소리 수렴…연내 '자율주행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출처=연합]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출처=연합]

정부는 12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기도 의왕시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에서 AI 로봇·자동차 분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의 첫 번째 행사로 열린 이번 간담회는 주요 기업과 관계 부처, 유관 기관이 참석해 정부의 AI 대전환 선도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업계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구 부총리는 "AI가 촉발한 산업 변화는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고 세계 경제는 1등만 살아남는 'Winner takes all' 시대"라며 "앞으로 5년이 한국경제가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AI 로봇과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 기업이 세계 1등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한국이 제조업 기반과 ICT 인프라 강점을 가진 만큼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차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 가능성이 높다고 공감했다. 

그러나 중국과의 경쟁 심화, 높은 개발 비용, 실증 인프라 부족, 데이터 활용 제약 등을 애로사항으로 지적하며 ▲정부 R&D 및 실증 지원 확대 ▲공공구매 확대 ▲과감한 규제 개선 등을 요청했다.

정부는 업계 요구를 반영해 2030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세부 지원책을 제시했다.

로봇 분야에서는 피지컬 AI 원천기술 개발(2026년 150억원), 범용 휴머노이드 기술개발(2025년 110억원 → 2026년 300억원), 휴머노이드 개발·실증지원센터 구축(2025~2029년 100억원) 추진. 산업현장 내 로봇 이동을 위한 안전인증 기준도 2028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2027년 Lv.4 무인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데이터 활용 제도 개선,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자율주행 허용 등 규제 완화 방안 추진. 자율주행 특화 AI 반도체 개발(2025~2028년 580억원), Lv.4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2026~2029년 98억원) 실증 등을 병행한다. 정부는 연내 '자율주행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에 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AI 로봇·자동차를 시작으로 AI 대전환 선도프로젝트별 현장 간담회를 릴레이 형식으로 이어가며 각 분야별 세부 지원방안을 현장 중심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