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에너지 정책 이관 두고 산업계·여당 내 일부 반발
이언주 최고위원 "에너지 문제가 특정인 거취ㆍ 욕심 때문에 쪼개져"
"철강업계 경고, 규제 중심 에너지 정책,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
![철강업계 관계자는 "산업 정책으로서의 에너지와 환경 정책은 접근 방식이 다르다"며 "규제 중심의 정책이 강화되면 전기요금 인상으로 경영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8963_695994_5218.jpg)
정부와 여당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해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산업계와 여당 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8일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 정책으로서의 에너지와 환경 정책은 접근 방식이 다르다"며 "규제 중심의 정책이 강화되면 전기요금 인상으로 경영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공기업 관계자도 "재생에너지 쏠림이 심화되면 전통 에너지의 중요성이 간과돼 에너지 안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인 이언주 의원은 지난 5일 당 회의에서 "AI, 반도체, 철강 등 전략 산업이 에너지 원가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에너지를 규제 부처로 넘기는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또 원전 정책을 건설은 환경부, 수출은 산업부로 나누는 방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원전 건설과 수출을 분리하기 어렵다"며 "두 부처로 이원화하면 정책 시너지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위인설관이 나라를 망친다"며 개편안을 추진하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직격했다.
그는 "국가백년지대계, 산업 경쟁력과 노동자 생존이 걸린 에너지 문제가 특정인의 거취와 욕심 때문에 엉망으로 쪼개지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정부조직개편안의 구조적 모순에 대해서도 이 의원은 "석유, 석탄, 가스는 산업부가 맡고, 태양광, 풍력은 환경부가 담당하겠다는 발상은 이율배반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위기 대응 명분이 아무리 중요해도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전기요금 안정은 외면할 수 없는 절대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현재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안정적이지만, 지난 3년간 기후위기 대응이 후퇴한 점을 고려하면 개편 필요성은 인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환경부로의 이관이 아닌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가장 합리적 해법"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