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 시스템 복구 '더딘 걸음'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10.01 07:34
  • 수정 2025.10.01 07: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구율 10%대 머물러…민원 서비스 일부 정상화 속 혼란 최소화 노력

[출처=연합]
[출처=연합]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정부 전산 시스템이 마비된 지 엿새째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복구율은 10%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기준으로 약 130명의 공무원과 570여 명의 전산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인력을 투입하여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복구 작업은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파급도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1·2등급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1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전날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647개 시스템 중 3분의 2에 해당하는 3·4등급 시스템의 복구는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어 전체 복구율 상승에 더딘 속도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 일부 민원 서비스가 정상화되면서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는 있으나, 정부는 큰 혼란 상황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서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재가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서비스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약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층 7·8 전산실 내 시스템은 화재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나, 분진으로 인한 영향을 제거한 후 순차적으로 재가동될 예정이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일부 시스템의 경우 다수 기관과의 정보 연계 등으로 인해 예상보다 복구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전날 화재로 인해 중단된 총 647개 정보 시스템 목록을 공개했다. 정확한 정보를 기관과 국민에게 제공하여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정부는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