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간 37개 사업 중 23개 사업 손실 기록…수익률 3%에 그쳐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사는 2009년부터 2025년 9월 현재까지 총 18개국에서 37개의 해외 사업을 수주했다. 이 중 23개 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사업의 62%에 달한다. [출처=염태영 의원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793_701530_5659.jpg)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 2009년부터 올해 9월까지 수주한 해외 사업 37건 중 23건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해외 사업의 62%에 해당하는 수치다.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사는 2009년부터 2025년 9월 현재까지 총 18개국에서 37개의 해외 사업을 수주했다. 이 중 23개 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사업의 62%에 달한다.
현재 진행 중인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 민관협력사업(PPP)은 26억 원의 수익이 발생했지만, 현지 및 본사 투입 비용과 인건비 등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42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수익률은 –164%에 머물렀다. 인도네시아 바탐 항나딤공항 PPP 사업 역시 –4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앞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건설사업관리 컨설팅 사업은 8억 7,000만 원의 수익을 올렸으나, 실제 투입 비용을 제외하면 수익률은 –76%로 저조했다. 지난 16년간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해외 사업에 투입된 총 비용은 2922억 원(투입 비용 2903억 원, 지분법 손실 19억 원)이었으나, 매출액은 3025억 원에 그쳐 누적 영업이익은 102억 원에 불과했다.
해외 사업 성과가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해 2월 해외사업 관련 부서를 기존 1개 처 24명에서 2개 처 45명으로 확대하며 인력을 두 배 가까이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해외 사업 실적과 관련하여 제출 자료를 통해 "해외 사업 태동기(2009~2017년) 영업이익률은 0.6%였으나, 다각화가 이루어진 성장기(2018~2025년 8월)에는 영업이익률이 4.1%로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염태영 의원은 "16년 동안 수주한 해외 사업의 62%가 적자를 기록했고, 현재 누적 수익률이 3% 수준이라는 것은 공사가 사전에 사업성 검토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무분별한 해외 사업 수주보다는 수익률 향상 등 내실을 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