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 개시…시범운영 거쳐 정부·지자체 확대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8058_706491_5424.jpg)
그동안 보안 문제로 정부 내부망에서 활용하지 못했던 민간 AI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정부는 시범운영과 평가를 거쳐 내년 3월부터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중앙·지방정부가 내부망 환경에서도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서비스 개시 기념 행사에서 양 부처는 서비스 시연과 함께 향후 운영 계획을 공유했다.
현재 국내외 민간 AI 서비스는 내부 행정 데이터 유출 우려 등 보안 문제로 인해 인터넷망에서만 사용이 가능해 실제 행정 업무에 적용하기에는 제약이 컸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을 공공 부문에서 적극 활용하지 못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에 양 부처는 안전한 인프라 환경에서 최신 AI 기술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중점 사업으로 추진했다.
'범정부 AI 공통기반'은 민간이 보유한 다양한 AI 모델과 학습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핵심 자원을 중앙·지방정부가 공동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각 기관은 중복 투자 없이 내부 행정업무는 물론 대국민 서비스 영역까지 AI 기술을 폭넓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정책 기획의 과학화, 공공서비스 혁신 등 ‘AI 행정시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통기반은 공개된 행정 문서·데이터를 AI 모델과 연동해 내부망에서도 활용 가능한 AI 챗서비스 2종(삼성SDS, 네이버클라우드)을 우선 제공한다. 이와 함께 AI 공통기반을 활용한 기관별 특화 AI 서비스 도입도 지원할 계획이다.
2026년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될 AI 모델을 공통기반에 추가해 민간의 우수 기술을 행정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8058_706492_550.jpg)
행안부는 이번 공통기반을 바탕으로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서비스도 함께 선보였다.
이 플랫폼은 AI를 중심으로 메일·메신저·영상회의 등 소통·협업 도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단순·반복 업무를 줄이고 효율적인 행정 환경을 구현한다.
플랫폼은 공통기반에서 활용하는 공개 행정데이터뿐 아니라 기관별 내부 행정 문서와 개인이 보유한 데이터까지 연계해 더욱 정확하고 맥락 있는 AI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는 실제 사용자 의견 수렴과 서비스 기능 검증을 위해 내년 2월까지 시범 운영하고 이후 평가를 통해 내년 3월부터 중앙·지방정부 전체로 서비스를 점차 확대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AI를 공공 부문에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을 고도화하고 과학화함으로써 최고의 성과를 내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서비스 개시는 AI 3대 강국 실현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도 "민간 AI 기술을 공공분야에서 적극 활용해 국민에게 더 나은 혜택을 주는 'AI 민주정부'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