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세액공제시 연간 2000억원 혜택 "기재부와 협의 지속"

신주식 기자
  • 입력 2025.08.27 09:51
  • 수정 2025.08.27 10: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세제개편안 포함 불발 "정부의 적극 지원 필요"

독일 쾰른 '게임스컴 2025' 세가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삼성디스플레이 QD-OLED가 탑재된 모니터로 신작 게임을 체험하고 있다.[출처=삼성디스플레이]
독일 쾰른 '게임스컴 2025' 세가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삼성디스플레이 QD-OLED가 탑재된 모니터로 신작 게임을 체험하고 있다.[출처=삼성디스플레이]

올해 기획재정부의 세제개편안에 게임산업의 세액공제가 제외되면서 업계의 아쉬움도 커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기재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함으로써 중국과의 글로벌 시장 경쟁에 나서고 있는 게임업계에 힘을 실어준다는 방침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도 게임산업에 대한 세액공제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기획재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을 통해 웹툰콘텐츠 제작비용에 대한 소득·법인세 세액공제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웹툰 업계는 내년부터 웹툰 및 디지털만화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의 10%(중소기업 15%)에 대한 세액을 공제받게 된다. 

이번 세제개편안 논의 과정에서는 게임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방안에 대한 협의도 이뤄졌으나 최종적으로 반영되지 못했다. 현실적으로 다른 지원정책보다 세제혜택이 가장 직접적이고 업계도 이를 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쉬운 결과다. 

업계 관계자는 "게임산업에 세액공제가 적용될 경우 업계는 연간 총 2000억원 규모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산업 규모만큼 세제혜택 규모도 크기 때문에 정부도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지원정책들의 경우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은데 세액공제는 모든 기업이 일정 비율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업계에서도 가장 반기는 정책"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임산업을 주관하는 문화체육관광부도 이와 같은 업계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기재부와 지속적인 협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지난 1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게임 제작비용 세액 공제를 두고 세제 당국과 적극 협의중"이라며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