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 "모두의 AI 실현"

신주식 기자
  • 입력 2025.09.09 17: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AI 주권 확보 위한 5개 정예팀 공식 출범

독자AI파운데이션모델 사업홍보영상 캡처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자AI파운데이션모델 사업홍보영상 캡처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개최하고 지난달 선발된 5개 정예팀과 함께 본격적인 AI 개발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착수식에는 배경훈 장관을 비롯해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텔레콤·엔씨에이아이·LG경영개발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배경훈 장관은 "대한민국의 AI 강국 도약을 위해 글로벌 파급력 있는 AI 모델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달라"며 "AI 생태계의 성장과 확장을 통해 '모두의 AI'를 실현하자"고 당부했다.

각 정예팀 대표들은 국가대표 AI 팀으로서의 사명감을 강조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AI를 만들겠다"고 말했으며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실행력으로 글로벌 AI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전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국민 일상에 스며드는 최고 수준의 AI 모델 개발을, 이연수 엔씨에이아이 대표는 산업현장의 AI 전환을 가속할 수 있는 모델 확보를 약속했다. 임우형 LG경영개발원 원장은 "국민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AI 성과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착수식에서는 정예팀에 'K-AI' 앰블럼이 수여됐다. 정예팀과 참여기관들은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번 앰블럼을 중소기업·스타트업의 자긍심 고취와 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기반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와 함께 ▲SOTA(State of the Art) 수준의 독자 AI 모델 개발 계획 ▲단계평가(Progress Evaluation) 추진 방안 ▲공공·경제·사회 등 전 분야 AI 대전환(AX) 지원 전략 ▲‘모두의 AI’ 생태계 기여 방안 ▲글로벌 파급력 확산 전략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올해 말 예정된 1차 단계평가에서는 선발된 5개 팀이 4개 팀으로 압축된다. 국민·전문가 평가, 안전성 검증, 파생 모델 수 평가 등 다층적 기준으로 평가가 진행되며 세부 계획은 평가 1개월 전에 공개된다. 이와 연계해 12월 말 대국민 AI 컨테스트도 열릴 예정이다.

배경훈 장관은 "정부와 민간이 한마음으로 도전해 반드시 독자 AI 모델 개발을 성공시키겠다"며 "대한민국을 AI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여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