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프랜차이즈 본사 이익 급증…가맹점 수익은 '제자리걸음'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10.14 13:20
  • 수정 2025.10.14 14:5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영 의원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 영업이익 140% 폭증에도 가맹점 평당 매출 1.5% 증가 그쳐"

[출처=허영 의원실]
[출처=허영 의원실]

최근 5년간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은 131% 증가하며 892억 원에서 2062억 원으로 늘었고, 영업이익은 140% 급증한 102억 원에서 245억 원에 달했다. 이는 가맹점의 수익 악화와는 대조적인 결과다. 본사는 신규 계약에서 발생하는 가맹비, 교육비, 물품 공급 이익 등을 통해 출점이 늘어날수록 수익이 확대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본사의 이익 증가는 최근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의 공격적인 출점 경쟁과 맞물려 있다. 2012년 공정거래위원회가 '모범거래기준'을 두고 동일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신규 가맹점 출점 제한 거리를 500m로 제한, 그러나 2014년에 기준이 폐지된 이후 매장 간 거리가 200m 이내로 좁혀지는 등 경쟁이 격화되면서 상권 과밀화가 가맹점 수익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가맹점 수는 평균 7914개에서 1만5692개로 약 98.3% 증가했다. 그러나 이 중 6개 브랜드의 매출은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가맹점의 평당 매출은 1499만 원에서 1522만 원으로 평균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본사의 이익 증가율 140%와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반면, 가맹점들의 폐업률은 2.4%에서 4.6%로 2.2%p 상승했다. 이는 거리 제한 규제 폐지 이후 매장 간 출점 간격이 좁아지고, 가맹점 간 매출이 겹치는 '출점 경쟁형 구조'로 변모한 결과로 분석된다.

편의점 업계가 '상권 거리제한 자율규약'을 통해 출점을 조정하며 점포 간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과 달리,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는 거리제한 폐지 이후 자율 규제가 부재하여 상권 포화와 가맹점 간 매출 잠식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 의원은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는 거리 제한 규제 폐지 이후 무제한 출점 경쟁으로 흘렀다"며 "본사는 단기 출점 경쟁을 멈추고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상권 포화도와 거리 제한을 반영한 자율 규제 기준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