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선 의원 "한미 통상 협상, 국익 중심 실용 외교 촉구"
![[출처=이용선 의원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026_699534_619.jpg)
최근 한미 통상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기존 합의 내용과 다른 양해각서를 일방적으로 제시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당초 3500억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에 대해 현금 출자 5%와 나머지는 대출 및 보증으로 협의했으나, 미국 측은 이를 일본과의 합의 수준에 맞춰 5500억 달러 전액 현금 투자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투자 수익의 90%를 미국이 회수하고, 민간 중심의 투자를 정부 주도 현금 투자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해당 양해각서가 미일 간 투자 협정과 동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AFP 통신은 지난 2일 일본 경제재생상 발언을 인용해 미일 간 5500억 달러 투자 약속 중 실제 현금 투자는 1~2%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대출 및 보증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 측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협상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이용선 의원은 정부에 신중하고 국익 중심적인 접근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을사늑약의 교훈을 되새겨 일방적인 졸속 합의 요구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며 "투자 방식과 수익 구조에 대한 재협상과 함께 미국 측의 일방적인 요구는 국회 보고 및 국민 공개 절차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앞서 한미 통상 협상에 임하는 원칙으로 ▲상업적 합리성 ▲감내 가능성 ▲국익 부합 ▲상호호혜적 결과 도출을 밝힌 바 있다.
이 의원은 대한민국이 경제, 안보, 기술 등 전 분야에서 대미 동맹의 핵심 파트너라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실용과 국익 중심의 '윈-윈' 전략을 견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