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컨테이너 폭발, 미신고 위험물 적재 확인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11.06 09: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고차와 함께 LP가스통·부탄가스 혼재, 관리 허점 드러나

6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기후노동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방청과 인천광역시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계기관은 이번 사고의 폭발 원인을 '가연성 가스로 인한 화염을 동반한 폭발'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출처=허종식 의원실]
6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기후노동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방청과 인천광역시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계기관은 이번 사고의 폭발 원인을 '가연성 가스로 인한 화염을 동반한 폭발'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출처=허종식 의원실]

지난 8월 28일 인천신항 한진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발생한 컨테이너 폭발 사고의 원인이 미신고 위험물질 때문인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소방과 경찰 조사 결과 컨테이너 내부에 수출용 중고차와 함께 다량의 LP가스통과 부탄가스 등 위험물이 무단으로 적재된 사실이 드러났다.

6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기후노동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방청과 인천광역시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계기관은 이번 사고의 폭발 원인을 '가연성 가스로 인한 화염을 동반한 폭발'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방청 조사 결과 폭발한 컨테이너 내부에는 기아 봉고 1톤 트럭(디젤)과 대우 라보(LPG) 등 중고차 2대와 함께 라보 차량용 LP가스통(42L) 1개, 주방용 LP가스통(24L) 3개, 부탄가스 캔 12개 등이 폐가전제품, 생활 잡화물과 혼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역시 합동 감식을 통해 차량용 LPG 용기 1점, 10KG 가스통 1점, 부탄가스 용기 9점 등을 발견했으며, 가스 누출 및 잔량 여부를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정밀 의뢰한 상태다.

세관 신고 내역과 실제 적재 물품 간의 심각한 차이도 확인됐다. 사고 후 보세 담당자가 인천세관에 제출한 신고서에는 해당 컨테이너에 '중고차'만 적재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었고, 반입 중량은 2만5000kg으로 신고됐다.

해당 컨테이너는 사고 당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출발해 오후 7시 30분쯤 인천신항에 반입됐고, 야적장에 적치된 지 약 1시간 20여 분 후인 밤 9시 11분쯤 폭발했다. 당초 9월 7일 선적되어 중국 닝보를 거쳐 아프리카 가나로 운송될 예정이었으나, 폭발로 컨테이너 13개와 야적장 철제 펜스 등이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중고차 수출 과정에서 이뤄지는 '쇼링'(화물 고박) 작업 시 신고되지 않은 위험 물질이 무분별하게 혼적된 행위가 폭발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인천항이 중고차 수출의 주요 거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중고차 쇼링 작업과 위험물 검색 절차 전반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고로 드러난 위험물들은 사전 신고조차 되지 않아 '일반 화물'로 분류됐으며, 관세청 등 관련 기관들은 수출 신고 전 단계라는 이유로 관리 대상이 아니었다는 입장을 내놔 책임 회피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항만 내 적치된 컨테이너에서 폭발이 발생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관계 기관과 함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허종식 의원은 "만약 컨테이너가 야적장이 아닌 선박 운송 중에 폭발했다면 대형 참사로 이어졌을 것"이라며 "이번 폭발사고는 항만 내 위험물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이 부른 인재"라고 지적했다.

허 의원은 이어 "해양수산부, 관세청,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은 책임을 통감하고, 중고차 수출 화물 관리 전반과 항만 위험물 통제 시스템을 시급히 재점검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