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주택공급 확대방안' 후속조치…국토부, 모듈러주택 박차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11.07 08:10
  • 수정 2025.11.07 08:1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와 협력해 AI 융합 스마트주거공간 선보여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모듈러 공법의 확산을 위해 대규모 전시홍보관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7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모듈러주택의 우수성을 집중 홍보한다.  [출처=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모듈러 공법의 확산을 위해 대규모 전시홍보관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7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모듈러주택의 우수성을 집중 홍보한다.  [출처=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모듈러 공법의 확산을 위해 대규모 전시홍보관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7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모듈러주택의 우수성을 집중 홍보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모듈러 공법과 AI 가전기술이 결합된 '미래형 스마트주거공간'이 공개된다. 실제 모듈러주택 목업(Mock-up) 내부에는 음성제어 냉장고, AI 콤보 세탁건조기, 사물인터넷(IoT) 침실 등 첨단 AI 기반 가전제품들이 설치되어 방문객들이 미래 주거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OSC·모듈러 공법은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조립만으로 건축물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전통적인 현장 중심 시공방식과 비교해 생산성, 안전성, 품질관리 등 여러 측면에서 뚜렷한 장점을 보인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가장 큰 장점은 공사기간 단축이다. 기존 공법 대비 20~30% 가량 공기를 줄일 수 있어 신속한 주택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고소작업이 대폭 감소해 현장 안전사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기상 악화 등 외부 여건의 영향을 적게 받아 일관된 품질 확보에도 유리하다.

공장 내 자동화 설비를 통해 현장 투입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숙련인력 부족과 고령화 등 국내 건설현장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정부는 이러한 OSC·모듈러 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인정하고 지난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활성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후속 조치로 'OSC·모듈러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설계, 감리, 품질관리 등 관련 법적 기준을 정립하고 각종 규제 해소 및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규철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은 "모듈러 기술의 발전은 주택 품질과 건설 생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이어 "정부도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통해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택을 보다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