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행안부, 시스템 실증 및 현장 적용 방안 논의
![대전광역시 유성온천역 관제 시스템 화면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350_687136_4742.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행정안전부와 함께 AI·가상융합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 시스템 실증 현장을 점검하고 지방자치단체 현장 적용 및 확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전 유성온천역에서 진행된 현장 점검은 센서와 CCTV를 활용해 화재 발생 여부 및 군중 밀집도를 실시간 감지하고 AI 분석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이 시연됐다.
해당 시스템은 열 감지 센서, 연기 농도 센서 등으로 위험 위치와 규모를 판단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객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실시간 제공한다. 대전시는 올해 말까지 역사 내 LED 유도등을 설치해 실시간 대피 안내 기능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번 실증은 'AI·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23년부터 충청북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등과 함께 추진됐다.
행안부는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2023년 6월 행안부·고용노동부·소방청 등 3개 기관이 보유한 62종의 공공데이터를 지자체에 개방했다.
이를 기반으로 과제별 민간 공급기업들은 AI와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한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왔으며 올해는 현장 실증과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간담회에는 지자체 및 과제 수행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시스템 개발 현황과 실증 사례를 공유하고 실제 사고·재난 상황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개발한 시스템이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며 기초 지방자치단체까지 시스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번 실증 사업은 AI와 가상융합기술이 실제 재난 대응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재난안전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공공 서비스에 첨단 기술이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