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상승ㆍ사회안전망 확충에도 소득 5분위 배율 상승…양극화 해소는 '과제'
![서울 망원시장.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6409_693025_5029.jpg)
2025년 2분기 가계소득이 임금 상승과 사회안전망 확충에 힘입어 8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자만 소득 5분위 배율이 상승하며 소득 양극화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획재정부의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1~5분위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했다. 다만 소득 격차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가계 총소득은 근로소득(+1.5%), 사업소득(+0.2%), 이전소득(+5.1%)이 모두 증가하며 2.1%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보합세를 보였다.
소득 분위별로는 1분위 가구의 소득이 3.1% 증가하며 전체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했는데, 이는 근로소득 감소(-7.3%)에도 불구하고 사업소득(+10.2%)과 이전소득(+5.7%)이 증가한 덕분이다. 반면, 5분위 가구는 사업소득(+4.0%) 증가에도 불구하고 근로소득이 1.1% 감소했다.
가계 소비지출은 음식·숙박, 보건, 식료품 등을 중심으로 0.8% 증가했으나, 실질 소비지출은 1.2%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은 1.5% 증가하며 8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고, 흑자액은 3.3% 증가하며 5분기 연속 증가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5.45배로 전년 동기 대비 0.09배p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분기별 가구소득의 계절성과 변동성으로 인해 가계동향의 5분위 배율을 통한 소득 분배 분석은 신중해야 하며, 공식적인 소득분배 개선 여부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연간지표)를 통해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기 진작과 민생 안정을 위해 2차 추가경정예산 사업을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 취약차주 채무조정 추진 등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하고 취약계층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AI 대전환·초혁신경제 30대 선도 프로젝트 등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과제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취약계층 지원 등 국민의 기본적인 삶 보장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청년 취업 역량 제고를 위한 AI 특화 교육과 구직·재취업 지원 강화, 청년층 구직촉진수당 확대 검토, 중고령층 재취업지원서비스 의무화 대상 확대 등도 추진된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인 6.51%(4인 기준) 인상될 예정이며, 생계급여 제도 개선을 통해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을 확대하고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