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 신호…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 소비 진작ㆍ수출 지원 총력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09.03 08: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소비심리 최고치 경신…GDP 반등세 속 산업 활동 지표 개선
관세 피해 기업에 연말까지 13.6조 긴급 경영 자금 공급ㆍ수출 바우처 4200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출처=연합]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출처=연합]

새 정부 출범 이후 장기간 지속되던 경기 부진 흐름에 반전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 정부 정책에 힘입어 소비심리가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111.4로 상승했다. 7월 소매판매는 29개월 만에 최대폭인 2.5% 증가했다.

이런 소비 회복세는 1분기 역성장을 기록했던 국내총생산(GDP)이 2분기에 반등하는 데 기여했다. 전산업생산 등 주요 산업 활동 지표 역시 두 달 연속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경제 상황을 공유했다. 구 부총리는 경제 회복을 위한 본격적인 노력이 이제 시작이라며, 정부가 쉬지 않고 전력을 다할 것임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9월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신속히 발표할 계획이다. 또 글로벌 통상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하고 인공지능(AI) 및 초혁신 경제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8월 28일 서산(석유화학)과 포항(철강)을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통상 현안 대응 및 수출 기업 지원을 위해 2026년 예산안을 2025년 1조 6000억 원에서 대폭 증액한 4조 3000억 원으로 편성했다.

우리 기업의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된다. 관세 피해를 입은 기업에는 연말까지 13조 6000억 원의 긴급 경영 자금이 공급되며, 수출 바우처는 2026년까지 약 4200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특히 '관세 피해 업종 저리 운영 자금'(산업은행, 3조 원)은 금리를 0.3%포인트 추가 인하하고 대출 한도를 10배로 확대(중소기업 300억 원, 중견기업 500억 원)하는 등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관세 영향이 큰 철강 및 알루미늄 분야에는 이차 보전 사업과 '긴급 저리 융자 자금'(무역협회, 200억 원)을 신설하고, 철강 핵심 원자재에 대한 긴급 할당 관세를 연내 적용하는 등 지원을 더욱 두텁게 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과 주력 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뷰티, 패션, 라이프, 푸드 등 '4대 K-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출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한 금융, 인증, 마케팅 패키지 지원을 제공한다.

철강 및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초격차 기술 연구개발(R&D)을 확대하는 한편, 100조 원 이상의 '국민 성장 펀드' 조성 방안을 조속히 확정해 첨단 전략 산업에 전폭적인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국민의 일상 속 편의 증진을 위해 안전, 교통, 여가 등 33건의 공공기관 대국민 체감형 서비스도 개선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기 시설 고장 시 무상 응급 조치 서비스인 '전기 안전 119'(한국전기안전공사)를 임산부 및 다자녀 가구까지 확대 적용한다. 전국 모든 어린이집과 유치원에는 무료 전자파 측정 서비스(한국전력공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를 제공하며, 평일에만 가능했던 학자금 대출 신청은 주말 및 공휴일까지 확대(한국장학재단)된다.

교통 및 여가 편의 증진을 위해서는 기차 탑승 후에도 '코레일톡' 앱을 통해 좌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도로 주유소에서는 '내일 가격'까지 미리 표시(한국석유관리원, 한국도로공사)한다.

교통 약자인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이 국립공원 명소를 즐길 수 있도록 탐방 차량을 지원(국립공원공단)하며, 우리 강 자전거 종주길은 러닝까지 가능한 테마형 멀티 트랙으로 확장(한국수자원공사)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