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성 기자[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6993_681986_389.jpg)
이재명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참석은 취임 후 첫 다자 외교 무대였다.
일본, 호주, 남아공과의 양자 회담을 통해 경제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외교적 성과에 대한 평가는 아직 이르다는 평가다.
외려 G7 외교는 '국내 문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주는 자리기도 했다는 풀이가 가능하다.
미국 싱크탱크의 분석처럼, 이번 정부의 운명은 국내 정치·경제 문제 해결에 달려 있다. 이를 전제로 당분간 외교 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실용 외교'를 표방하며 국익 중심의 유연한 접근을 시도하겠지만, 미-중 관계, 한일 역사 문제, 북핵 문제 등 외교적 난제가 산적해 있다.
특히 국내 여론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균형 외교'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다만 한일 관계는 전정부 시절의 협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안보 협력의 필요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대해 대통령실은 셔틀외교' 재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관계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제·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상호 국익을 도모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계속 논의해 나갈 필요성에 공감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반면 남북 관계는 북한의 강경한 태도로, 당분간 교류 재개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적 역량은 국내 개혁의 성공 여부와 밀접하게 연결돼 평가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내실을 다지는 데 집중해야 할 시점이어서다.
그래서 산적한 외교적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정치의 안정과 경제 성장을 이뤄내야 한다는 조언이 설득력을 얻는다.